- 발음
- [달래다

- 활용
- 달래어[달래어](달래[달래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슬퍼하거나 고통스러워하거나 흥분한 사람을 어르거나 타일러 기분을 가라앉히다.
- 우는 아이를 달래다.
- 실직하여 괴로워하는 남편을 달래 주었다.
- 천덕은 서너 명의 동료들과 더불어 분노한 가족들을 달래고 위로하며 한나절을 보냈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 병실 속에선 발작적인 울음소리와 그것을 달래느라고 쩔쩔매는 소리가 함께 들렸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달애다(15세기~18세기)>달래다(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달래다’의 옛말 ‘달애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래다’로 연철표기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달애다’의 ㅇ은 유성후두마찰음 [ɦ]였는데, 16세기 이후에 유성후두마찰음 [ɦ]이 사라지게 되었다. 17세기에 사라진 유성후두마찰음 자리에 ‘ㄹ’이 추가되어 ‘달래다’가 나타나게 되었다. 18세기까지 ‘달애다’와 ‘달래다’가 공존하다가 ‘달래다’가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달애다, 달래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