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먼지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가늘고 보드라운 티끌.
먼지가 날리다.
책꽂이에 먼지가 쌓이다.
오랫동안 청소하지 않은 방은 먼지로 가득했다.
군용차가 뽀얀 먼지를 일으키며 질주해 갔다.≪김용성, 도둑 일기≫
먼지가 가라앉자 길에서부터 오른쪽 첫째 집에 월남기와 태극기가 게양되어 있는 깃대가 보였다.≪이상문, 황색인≫
하루 종일 나는 거의 아무것도 의식하지 못하면서 땅바닥을 기어다니고, 총을 쏘고, 목이 칼칼할 지경으로 먼지를 마셨다.≪안정효, 하얀 전쟁≫
끄트머리 방의 방문을 활짝 열어 놓더니 방석 두 개를 한 손에 한 개씩, 마치 손뼉을 치는 모양으로 툭툭 먼지를 털어 낸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몬(15세기~18세기)>몬지(19세기)>먼지(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먼지’의 옛말인 ‘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 비어두음절의 ‘ㆍ’가 ‘ㅡ’로 변하는 ‘ㆍ’의 제1차 소실이 일어났는데, ‘몬’의 제2음절 모음도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여 ‘몬>*몬즤’의 변화를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9세기에는 자음 뒤에서 이중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몬즤’가 ‘몬지’로 변화하였다. 20세기에 들어와 제1음절의 모음 ‘ㅗ’가 ‘ㅓ’로 변하여 ‘먼지’가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에는 ‘문지’의 예도 확인되는데 이는 현재 강원도, 경상도, 잔라남도, 충청북도 등에 남아있는 방언형 ‘문지’와 관련된다.
이형태/이표기 몬, 몬지, 문지
세기별 용례
15세기 : (몬)
王이 드르시고 해 디여 우르샤 모매 몬 무티시고 太子 가시니 ≪1447 석상 11:21ㄴ
18세기 : (몬)
몬  埃 ≪1781 왜해 상:08ㄴ
19세기 : (몬지, 문지)
몬지 埃 ≪1880 한불 245
문지 廛埃 ≪1880 한불 254

관용구·속담(1)

속담먼지도 쌓이면 큰 산이 된다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모이고 모이면 나중에 큰 덩어리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티끌 모아 태산’ ‘모래알도 모으면 산이 된다’ ‘실도랑 모여 대동강이 된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