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먼지

- 품사
- 「명사」
- 「001」가늘고 보드라운 티끌.
- 먼지가 날리다.
- 책꽂이에 먼지가 쌓이다.
- 오랫동안 청소하지 않은 방은 먼지로 가득했다.
- 군용차가 뽀얀 먼지를 일으키며 질주해 갔다.≪김용성, 도둑 일기≫
- 먼지가 가라앉자 길에서부터 오른쪽 첫째 집에 월남기와 태극기가 게양되어 있는 깃대가 보였다.≪이상문, 황색인≫
- 하루 종일 나는 거의 아무것도 의식하지 못하면서 땅바닥을 기어다니고, 총을 쏘고, 목이 칼칼할 지경으로 먼지를 마셨다.≪안정효, 하얀 전쟁≫
- 끄트머리 방의 방문을 활짝 열어 놓더니 방석 두 개를 한 손에 한 개씩, 마치 손뼉을 치는 모양으로 툭툭 먼지를 털어 낸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몬지(강원, 경기, 경북, 전남, 제주, 충청, 평안, 황해), 문대기(강원, 충북), 문데기(강원, 충북), 문데비(강원), 문주(강원), 문지(강원, 경기, 경상, 전남, 충북, 함경), 먼데기(경기, 충남), 몬대기(경기, 충청), 멘지(경남, 충남), 무겁(경남), 무금(경남), 미검(경남), 미굼(경남), 끌테기(전남), 멈지(전남), 몸다구(전남), 멍지(전북), 뭉지(전북), 구둠(제주), 구듬(제주), 먼지레기(제주), 몬독(제주), 몬지라기(제주), 몬지래기(제주), 몬지레기(제주), 문제(제주), 먼디기(충남), 몬데기(충남), 몬데미(충남), 몬디기(충남), 몸대기(충남), 몸데기(충남), 몸지(충남), 몸태기(충남), 무지(충남), 뭄지(충북), 탑쎄기(충청), 먼주(평북), 봉댕이(평북), 딘끌(평안), 몬당(평안, 황해), 몬주(평안), 몽당(평안, 황해), 몽댕이(평안), 보개미(함남), 문제기(함북)
- 옛말
- 몬
역사 정보
몬(15세기~18세기)>몬지(19세기)>먼지(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먼지’의 옛말인 ‘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 비어두음절의 ‘ㆍ’가 ‘ㅡ’로 변하는 ‘ㆍ’의 제1차 소실이 일어났는데, ‘몬’의 제2음절 모음도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여 ‘몬>*몬즤’의 변화를 겪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19세기에는 자음 뒤에서 이중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몬즤’가 ‘몬지’로 변화하였다. 20세기에 들어와 제1음절의 모음 ‘ㅗ’가 ‘ㅓ’로 변하여 ‘먼지’가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에는 ‘문지’의 예도 확인되는데 이는 현재 강원도, 경상도, 잔라남도, 충청북도 등에 남아있는 방언형 ‘문지’와 관련된다. |
---|---|
이형태/이표기 | 몬, 몬지, 문지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먼지도 쌓이면 큰 산이 된다
-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모이고 모이면 나중에 큰 덩어리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티끌 모아 태산’ ‘모래알도 모으면 산이 된다’ ‘실도랑 모여 대동강이 된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