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마소

- 품사
- 「명사」
- 「001」말과 소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마소를 기르다.
- 마소를 부리다.
- 몇 뭇 안 남은 조짚은 마소를 먹였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웅보가 알고 있기에, 노비는 사람이라기보다는 마소와 같은 취급을 받아 오지 않았던가.≪문순태, 타오르는 강≫
역사 정보
쇼(15세기~18세기)>마소(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마소’의 옛말인 ‘쇼’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쇼’는 “말”의 의미인 ‘’과 “소”의 의미인 ‘쇼’가 결합한 것인데, 중세 국어 시기에는 ‘ㅅ’ 앞에서 종성 ‘ㄹ’이 탈락하였으므로 ‘쇼’로 나타난 것이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쇼’의 ‘’가 ‘마’로 변화하고, 근대 국어 후기에 ‘ㅅ’ 뒤에서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 등이 반모음 탈락으로 단모음화하는 현상에 따라 ‘쇼’가 ‘소’로 변화함에 따라 19세기에는 ‘마소’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쇼, 마소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마소 새끼는 시골로 사람의 새끼는 서울로
- 망아지는 말의 고장인 제주도에서 길러야 하고, 사람은 어릴 때부터 서울로 보내어 공부를 하게 하여야 잘될 수 있다는 말. <동의 속담> ‘말은 나면 제주도로 보내고 사람은 나면 서울로 보내라’ ‘사람의 새끼는 서울로 보내고 마소 새끼는 시골[제주]로 보내라’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