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마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말과 소를 아울러 이르는 말.
마소를 기르다.
마소를 부리다.
몇 뭇 안 남은 조짚은 마소를 먹였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웅보가 알고 있기에, 노비는 사람이라기보다는 마소와 같은 취급을 받아 오지 않았던가.≪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비슷한말
우마(牛馬)
지역어(방언)
소-말(전북)
옛말
-쇼

역사 정보

쇼(15세기~18세기)>마소(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마소’의 옛말인 ‘쇼’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쇼’는 “말”의 의미인 ‘’과 “소”의 의미인 ‘쇼’가 결합한 것인데, 중세 국어 시기에는 ‘ㅅ’ 앞에서 종성 ‘ㄹ’이 탈락하였으므로 ‘쇼’로 나타난 것이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쇼’의 ‘’가 ‘마’로 변화하고, 근대 국어 후기에 ‘ㅅ’ 뒤에서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 등이 반모음 탈락으로 단모음화하는 현상에 따라 ‘쇼’가 ‘소’로 변화함에 따라 19세기에는 ‘마소’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쇼, 마소
세기별 용례
15세기 : (쇼)
願 사도 便安며 쇼도 便安야 ≪1459 월석 4:59ㄴ
쇼 머기 아 이 누네 잇니 받 가 아비 眞實로 이우지 외옛도다 ≪1481 두시-초 7:18ㄴ
16세기 : (쇼)
우리 쇼 쉬워  일 녀져 ≪1510년대 번노 상:10ㄴ
네 이 여러 쇼히 밤마다 먹는 딥과 이 대되 언머만 쳔이 드고 ≪1510년대 번노 상:11ㄴ
17세기 : (쇼)
쇼 머길 한아비와 나모 지 아  依賴 줄 업스니 ≪1632 두시-중 8:34ㄱ
사이 되여나셔 올티곳 못면 쇼 갓 곳갈 싀워 밥 머기나 다랴 ≪1658 경민-개 39ㄴ
18세기 : (쇼)
드리 公木들도 쇼게 시러  이 두락 이틀 이 두락 往來니 ≪1748 첩신-개 4:35ㄱ
馬盖牛走 쇼 흐루다 ≪1748 동해 하:38ㄴ
19세기 : (마소)
마소 馬牛 ≪1895 국한 105

관용구·속담(1)

속담마소 새끼는 시골로 사람의 새끼는 서울로
망아지는 말의 고장인 제주도에서 길러야 하고, 사람은 어릴 때부터 서울로 보내어 공부를 하게 하여야 잘될 수 있다는 말. <동의 속담> ‘말은 나면 제주도로 보내고 사람은 나면 서울로 보내라’ ‘사람의 새끼는 서울로 보내고 마소 새끼는 시골[제주]로 보내라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