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말미

- 품사
- 「명사」
- 「001」일정한 직업이나 일 따위에 매인 사람이 다른 일로 말미암아 얻는 겨를.
- 말미가 나다.
- 말미를 받다.
- 말미를 얻다.
- 말미를 주다.
- 일간 말미를 내어 찾아뵙겠습니다.
- 이틀의 말미는 스승을 위하여, 스승이 좋아하는 비자를 구해 오고자 했던 정성에서 온 것이었다.≪한무숙, 만남≫
- 황 서방이 말미 얻은 날짜가 있어서 가야 한다고 고집을 세우니 어떻게 더 붙들 수가 있어야지.≪홍명희, 임꺽정≫
- 종년도 몸을 풀 눈치가 보이면 산바라지할 만한 이를 딸려서 단 사흘이라도 말미를 주는 게 인지상정인데….≪박완서, 미망≫
역사 정보
말(15세기~17세기)>말믜(17세기~19세기)>말미(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말미’의 옛말인 ‘말’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여 ‘말’도 17세기에 ‘말믜’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후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단모음 ‘ㅣ’로 변하였는데 ‘말믜’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현대 국어의 ‘말미’가 되었다. 한편 중세국어 시기에 ‘말’는 “까닭, 연유”의 의미와 “겨를”의 의미를 모두 지니고 있었는데, 근대국어 이후로는 “겨를”의 의미로만 쓰이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말, 말믜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