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막때

- 품사
- 「명사」
- 「001」‘막대기’의 준말.
- 막대로 손바닥을 때리다.
- 녀석은 지금쯤 긴 막대를 휘두르며 뒷산에서부터 염소 떼를 몰고 내려오겠지.≪김원일, 어둠의 축제≫
역사 정보
막다히(15세기~17세기)>막대(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막대’의 옛말인 ‘막다히’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막다히’에서 끝 음절의 자음 ‘ㅎ’이 탈락한 ‘막대’도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는데, 이 때 모음 ‘ㅐ’는 이중모음 [ay]로 발음되었다. 표기상으로는 구별되지 않지만, ‘막대’는 근대국어 후기에 이중모음 ㅐ[ay]가 [ɛ]로 단모음화 하면서 비로소 현대 국어의 ‘막대’가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막다히, 막대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막대 잃은 장님
- 의지할 곳을 잃고 꼼짝 못 하게 된 처지를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