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마지막

- 활용
- 마지막만[마지망만

- 품사
- 「명사」
- 「001」시간상이나 순서상의 맨 끝.
- 마지막 열차.
- 마지막 장면.
- 마지막으로 출발하다.
- 널 용서해 주는 것은 이번이 마지막이다.
- 마지막으로 한마디 하겠는데 모두들 몸조심해라.
- 마지막에 들어온 사람이 문을 닫았다.
- 마지막까지 남아 있는 사람이 뒷정리를 하고 돌아가야 한다.
- 모두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주기 바란다.
- 임술년이 마지막 가는 섣달그믐날 오시가 넘었었다. 흥선은 오래간만에 관복을 입었다.≪박종화, 전야≫
- 체인이 공기를 가르는 날카로운 소리를 스쳐 들은 것을 마지막으로 명훈은 가볍게 포위를 벗어났다.≪이문열, 변경≫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막(15세기~18세기)>즈막(18세기)>마즈막(19세기)>마지막(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마지막’의 옛말인 ‘막’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ㆍ’는 ‘ㅡ’로 변하는데, ‘막’의 경우는 18세기 문헌에서야 ‘즈막’으로 바뀐 형태가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이르러는 ‘ㆍ’가 음가를 잃어 ‘ㅏ’와 혼동되면서 ‘마즈막’, ‘마막’, ‘마자막’ 등의 다양한 표기가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일어난 ‘ㅅ, ㅈ, ㅊ’ 아래에서 ‘ㅡ’가 ‘ㅣ’로 바뀌는 현상에 의해 ‘마즈막’이 ‘마지막’으로 바뀌면서 현재에 이른다. |
---|---|
이형태/이표기 | 막, , 즈막, 마즈막, 마막, 마자막, 마지막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마지막 고개를 넘기기가 가장 힘들다
- 어떤 일이든지 끝을 잘 마무리하기가 가장 힘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마지막 담배 한 대는 기생첩도 안 준다
- 마지막 남은 한 대의 담배는 남을 주기가 매우 아까움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