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마뜨카다발음 듣기]
품사/문형
「형용사」 【…이】
「001」((주로 ‘않다’, ‘못하다’와 함께 쓰여)) 제법 마음에 들 만하다.
나는 그의 행동이 마뜩하지 않다.
그들의 성공이 마뜩지 못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음이 밝혀졌다.
이성신 교장은 김형수의 전학 서류를 갖춰 결재를 맡으러 들어가자 몹시 마뜩지 않은 인상으로 트집을 잡았다.≪전상국, 음지의 눈≫

관련 어휘

옛말
-다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맛득다(19세기)>마뜩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마뜩하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과 접미사 ‘--’가 결합한 것인데, ‘’의 의미는 분명하지 않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이 ‘맛’으로 변화하고,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되는 경향에 영향을 받고, 제2음절 종성 자음군 ‘ㄺ’이 ‘ㄱ’으로 단순화됨에 따라 ‘’은 ‘득’으로 나타나게 되어 19세기에는 ‘맛득다’로 나타난다. 20세기 이후에는 제1음절 종성 ‘ㅅ’이 후행하는 ‘ㄷ’을 된소리로 변화시키고 탈락하며, ‘ㆍ’를 표기에 쓰지 않게 됨에 따라 ‘마뜩하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의 ‘다’는 ‘다’에서 ‘--’가 생략된 것이다. 18세기의 ‘다’는 종성 ‘ㄷ’을 ‘ㅅ’으로 표기하였던 당시의 경향에 영향을 받아 ‘다’의 종성 ‘ㅅ’을 ‘ㄷ’으로 표기한 예이다.
‘다’는 중세 국어 이래로 긍정문에 쓰이는 것이었으나 현재에는 부정문의 형태가 한 단어로 굳어져 쓰이게 되었다. 19세기의 ‘맛득잔타’는 이러한 경향을 보여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형태/이표기 다, 다, 다, 맛득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아례나  며느리 어두리라 야 ≪1447 석상 6:13ㄴ
16세기 : (다)
 혐 ≪1576 신합 하:15ㄴ
18세기 : (다)
잔가 여 日暮西山여도 樂而忘返이오매 ≪1790 인어 1:30ㄴ
음식도 음식이어니와 器皿이 鮮明매 비록 無味 음식이라도 외1790 인어 10:14ㄱ
19세기 : (맛득다)
긋다 淨 고졍다 맛득다1880 한불 139
맛득다 潔 결졍다 맛득잔타 不潔 ≪1880 한불 227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