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소리

- 품사
- 「명사」
- 「001」물체의 진동에 의하여 생긴 음파가 귀청을 울리어 귀에 들리는 것.
- 피리 소리.
- 소리를 줄이다.
- 밖에서 이상한 소리가 난다.
- 강아지가 배가 고픈지 낑낑거리는 소리를 낸다.
- 이따금 밥그릇에 숟갈 부딪히는 소리와, 맹렬히 음식을 씹는 소리 외에는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았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 개 짖는 소리가 가까워 오고 있는 듯싶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그가 부는 트럼펫 소리는 금속의 소리가 아니라 그가 토해 내는 각혈일 것이다.≪최인호, 지구인≫
- 징, 꽹과리 소리는 꼬박 밤을 새워 울렸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소리(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소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소리’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15세기 문헌에는 ‘소리’와 함께 ‘소’도 존재하였다. 이 ‘소’는 15세기 문헌에서 여섯 예가 발견되고 대부분 ‘소리’가 나타났다. 그런데 16세기 들어 ‘소’가 ‘소리’보다 더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렇게 ‘소리’보다 ‘소’가 문헌에 훨씬 많이 나타나는 양상은 19세기까지 이어진다. ‘소’는 16세기 이후 ‘ㆍ’의 음가 소실로 인해 ‘소릐’로도 표기되어 나타나고 이 ‘소’와 ‘소릐’가 ‘솔’, ‘솔의’로 과잉 분철되기도 한다. |
---|---|
이형태/이표기 | 소리, 소, 소릐, 솔, 솔의, 솔이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6)
- 관용구소리(를) 내며 크다
- 아주 기운차게 빨리 자라다.
- 소리를 내며 크는 나이.
- 물만 잘 대 주면 남새가 소리를 내며 큰다. ≪선대≫
- 관용구소리 소문도 없이
- 드러남이 없이 슬그머니.
- 사건의 용의자는 소리 소문도 없이 어딘가로 사라졌다가 일이 잠잠해지자 다시 나타났다.
- 속담소리 난 방귀가 냄새 없다
- 소문만 요란하고 실속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소리 없는 고양이 쥐 잡듯
- 고양이가 소리 없이 날쌔게 쥐를 잡듯 한다는 뜻으로, 말없이 솜씨 있게 일을 해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소리 없는 벌레가 벽을 뚫는다
- 아무 소리도 안 내고 꾸무럭거리는 벌레가 놀랍게도 벽에 구멍을 뚫는다는 뜻으로, 말없이 일을 하는 사람이 오히려 큰일을 이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소리 없는 총이 있으면 놓겠다
- 상대편을 매우 시기하고 몹시 미워한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