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뛰다발음 듣기]
활용
뛰어[뛰어발음 듣기/뛰여발음 듣기], 뛰니[뛰니]
품사/문형
「동사」 【…으로】
「005」물방울, 흙 따위가 힘을 받아서 세차게 솟아올랐다가 흩어지다.
다이너마이트가 터지자 사방으로 파편이 뛰었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다(15세기~17세기)>다(18세기~19세기)>뛰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뛰다01’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ㅳ’을 ‘ㅼ’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8세기에는 ‘다’로 나타난다.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9세기에는 ‘뛰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다, 다, 뛰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欲愛 리고 乾慧예 여 올아도 ≪1461 능엄 8:15ㄱ
머리 여  나갈 이런로 일후미 遠行이라 ≪1461 능엄 8:47ㄴ
16세기 : (다)
고기 네히 여 나거 가져와 머기니 病이 즉재 됴니라 ≪1514 속삼 효:28ㄱ
뎨 일로 며 뒤져겨 ≪1598 무예제보 44ㄱ
17세기 : (다)
고시 몸을 여 라드러 구야 ≪1617 동신속 열8:64ㄴ≫
18세기 : (다)
뎌거시 라 하의 오디 못고 여 江을 것너디 못홈이 ≪1721 오륜전비 6:37ㄴ
橫跳竪跳  고 셰 다 ≪1775 역보 60ㄴ
19세기 : (다, 뛰다)
갑졀 倍 삼갑졀 열갑졀 갑졀 더 다1880 한불 132
한 水夫 檣頭藍中에 올 안자 海上에 고가 믈 伺察여 ≪1895 국민 30ㄴ
뛰다 躍 ≪1895 국한 87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