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마루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등성이를 이루는 지붕이나 산 따위의 꼭대기.
서거칠은 승달산 마루에 뎅그렇게 걸린 해를 보면서 일어섰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역사 정보

(15세기~19세기)>르(17세기)>마로(19세기)>마루(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마루’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단독으로 쓰이거나 조사 ‘-와’,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 그 밖의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ㄹ’로 이형태 교체를 하였다. 18세기까지도 ‘ㄹ’의 예가 나타나므로 ‘/ㄹ’의 이형태 교체가 사라진 것은 19세기 이후로 추정된다(18세기 문헌에 보이는 ‘ㄴ’은 ‘ㄹ’의 이표기이다). 16세기 이래로 제2음절 이하의 모음 ‘ㆍ’는 ‘ㅡ’로 바뀌었는데, ‘르’로 변한 예가 17세기 문헌에 한 번 보일 뿐 18세기까지는 대체로 ‘/ㄹ’이 나타났다. 19세기에는 ‘마로’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제2음절의 모음이 ‘ㆍ>ㅗ’로 변화하고, 또한 근대국어 시기에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면서 ‘>마로’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마로’에서 제2음절의 양성모음 ‘ㅗ’가 음성모음 ‘ㅜ’로 바뀌어 현대 국어의 ‘마루’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 ㄹ, ㄴ, 르, 마로, 마류
세기별 용례
15세기 : (, ㄹ)
지븨 堂閣舍宅이 잇고 舍宅애 담과 과 긷 불휘와 보콰 왜 잇니 ≪1459 월석 12:22ㄱ
하로  삼고 德으로 믿 삼고 道로 門 사마 變化애 始作씨 聖人이라 니 ≪1463 법화 1:14ㄱ
堂閣이 가 담과 괘 므르드르며 긷 불휘 석고 보히며 리 기울어늘 휫두루  믄득 브리 니러 舍宅이 븓더니 ≪1459 월석 12:21ㄴ
긴 놀애 집  激發니 므리 려 袵席에 흐다 ≪1481 두시-초 7:25ㄱ
16세기 : ()
  ≪1527 훈몽 중:4ㄱ
甍 집   ≪1576 신합 상:23ㄴ
17세기 : (, ㄹ, 르)
일즉  家廟 셰오고져 니 져근 다  집의 後엣 로  긴 龕실堂을 라 널로 隔截야 네 龕실堂을 고 ≪1632 가언 1:9ㄱ
 우흿 집이니  업슨 지블 닐오 捲篷 ≪1677 박언 중:39ㄱ
옥당혈은 입안 하 뎨로 셋재  이시니 오장의 열이 이셔 속구황병을 고티니 ≪17세기 마경 상:65ㄴ
平房子 르 업시 편히  집 ≪1690 역해 상:17ㄱ
18세기 : (, ㄴ, 마루)
지을 목이 다 잇냐 이 납과 와 혀와 기동과 短柱와 문얼굴과 문과 들창과 우러리창과 다지와 외다지와 창얼굴과  섬돌과 벽과 지개에 니르히 다 이시니 ≪1765 박신 3:16ㄴ
上樑  얹 ≪1775 역보 13ㄱ
농단은 언덕  올나 두 편니 다 가지단 말이라 ≪1777 명의 권수하 존현각일긔 64ㄴ
가지로 집 우희 올나 존현각 집  니르러 기와 거드며 모래 더져 독갑의 형상을 야 사의 보며 듯기 현란게 야 ≪1778 속명 1:6ㄴ≫
19세기 : (, 마로, 마류)
텬하ㅣ 쥬  삼거 이 슉졔ㅣ 붓그려의로 쥿나라 곡식을 먹디 아닐 거시라 고 ≪1832 십구 1:50ㄴ
코마로 準梁 ≪1810 몽유 상:1ㄱ
마로대 宗木 屋樓 ≪1895 국한 104
대마류 大樑 ≪1895 국한 72

관용구·속담(1)

속담마루 넘은 수레 내려가기
사물의 진행 속도나 형세가 걷잡을 수 없이 매우 빠름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