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드리차다]
활용
들이차[드리차], 들이차니[드리차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마구 차다.
상사는 군홧발로 그의 옆구리를 들이찼다.
보연의 말이 미처 끝나기도 전에 두 사나이가 방문을 들이차듯 하며 방 안으로 들어왔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딜에-차다(강원)
옛말
드리-다

역사 정보

드리다(15세기)>들이차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들이차다'의 옛말인 '드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드리다'는 "마구"의 의미인 '드리'와 "차다"의 의미인 '다'가 결합한 것이다. '드리'는 원래 "들어가다"의 의미인 '들다'에 사동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인데, "마구"의 의미를 가지는 접두사로 변화하였다. 18세기에 제1음절 모음 'ᆞ'가 'ᅡ'로 변화함에 따라 '다'가 '차다'가 되고, 20세기 이후 '드리'를 분철 표기 하게 됨에 따라 '들이차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드리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드리다)
져재  저기어든 대 두드리거나 드리거나 면 사미 다 두리여 숨니라 ≪1459 월석 21:218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