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따름발음 듣기]
품사
「의존 명사」
「001」((주로 ‘-을 따름이다’ 구성으로 쓰여)) 오로지 그것뿐이고 그 이상은 아님을 나타내는 말.
그저 당신을 만나러 왔을 따름입니다.
막내가 대학에 합격했다는 소리를 들으니 그저 기쁠 따름이다.
언니는 아버지의 사고 소식에 당황할 따름이었다.
네가 이렇게 죽지 않고 살아 있다는 것만으로도 이 어미는 고마울 따름이다.
까닭 모르는 인생을 사는 것과 같이 병식은 까닭 없이 그저 계숙의 뒤를 따를 따름이다.≪심훈, 영원의 미소≫
“나는 무엇이라 말을 해야 좋을지 알 수 없네. 다만 자네에게 감사할 따름이네.”≪나도향, 환희≫
한 사람은 새 세계 앞에 다만 경탄할 따름이고, 한 사람은 새 세계의 두려움을 체험했다.≪임화, 문학과 논리≫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떠름(충북)
옛말


역사 정보

(15세기~19세기)>름(18세기~19세기)>름(19세기)>따름(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따름’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되는 경향에 따라 18세기에는 ‘름’으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름’으로 나타난다. 20세기 이후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따름’으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의 ‘’은 ‘’을 분철 표기 한 것이다. 18세기의 ‘롬’은 ‘’의 제2음절 모음 ‘ㆍ’가 ‘ㅗ’로 변화한 것이며, ‘옴’은 ‘롬’을 분철 표기 한 것이다. 같은 시기의 ‘람’은 ‘’의 제2음절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한 것이다. 19세기의 ‘음’은 ‘름’을 분철 표기 한 것이다. 같은 시기의 ‘, 롬’은 각각 ‘, 롬’의 ‘ㅼ’을 ‘ㄸ’으로 표기한 것이다. 19세기의 ‘람’은 ‘’의 제2음절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한 것이며, 같은 시기의 ‘따’은 ‘’의 제1음절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 , 름, 롬, 옴, 람, 름, 음, , 롬, 람, 따
세기별 용례
15세기 : ()
實엔 두 聖人이  道理샤 서르 始作과 괘 외실 미라1447 석상 21:20ㄴ
곧 그 法을 바 기려 大衆에 너비 니 미로니1465 원각 서:14ㄱ
16세기 : (, )
이리 음식 이받논 이예 이실 미니라1518 번소 3:20ㄱ-20ㄴ
일이 음식이 받 이예 이실 이니라1588 소언 2:53ㄴ
17세기 : ()
내 비록 살기 도적고져 나 갓 더러온 욕을  이니 ≪1617 동신속 열3:94ㄴ≫
18세기 : (, 름, 롬, 옴, 람)
千字文과 百家 姓을 닑힐 이니1721 오륜전비 1:16ㄱ
내의 아 밧 쟈 오직 이 문팀며 시션 름이라1777 명의 권수하존현각일기:66ㄱ
그 종요 진실로 祖宗의 心法을 계슐고 祖宗의 政敎를 行홈애 이실 롬이나1745 어상 12ㄴ-13ㄱ
나흔 그 일호을 과쟝고 나흔 그 분을 딕희디 아니고 나흔 그 시톄 오미라1765 경세 10ㄴ
有司ㅣ 의론 람이니이다1737 어내 2:92ㄱ
19세기 : (, 름, 롬, 름, 음, , 롬, 람, 따)
진과 초과 연과 졔과 됴과 위과 한 일 곱 큰 나라 이니1832 십구 1:69ㄴ
스로 강게  도 이 두어 가지에 버셔나지 아니 름이라1883 이언 자서:2ㄴ
착 닐과 악 닐의 보복호미 그림 형샹을 롬 지라 ≪1852 태상 대문해:1ㄱ
학문는 도 다르미 업니 그 방심 거슬 구 름이라1880 삼성 19ㄱ
오직 우샹의 물건과 피과 딘육과 간음 멀니 음이라1887 성전 사도행전 21:25
오직 셩모 의지고 랄 이라1865 주년 30ㄱ
능히 셩우 롬이 실노 세 가지 잇시니 ≪1892 성직 1:42ㄴ
오직 지 아니던 벌을 샹 밧을 람이리라1892 성직 8:65ㄴ
곡식이 나지 아니고 독 버레만 나셔 초일 따이오1892 성직 2:96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