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닫따

- 활용
- 닫아[다다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2」열린 문짝, 뚜껑, 서랍 따위를 도로 제자리로 가게 하여 막다.
- 뚜껑을 닫다.
- 서랍을 닫다.
- 방문을 닫고 다녀라.
- 문을 닫아라.
- 옆방에서는 뭐가 그리도 바쁜지 문을 열었다 닫았다 하며 분주하게 슬리퍼 끄는 소리가 요란하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관련 어휘
- 반대말
- 열다
- 지역어(방언)
- 더껑-장그다(제주), 더껑-종그다(제주), 더끄다(제주)
역사 정보
닫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닫다02’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닫-’는 중세 국어에서 후행하는 어미의 초성 ‘ㄴ’에 동화되어 ‘단-’으로 표기되기도 하였으며, 17세기의 ‘닷다’는 종성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당시의 경향에 따라 나타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닫다, 닷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