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닫따발음 듣기]
활용
닫아[다다발음 듣기], 닫으니[다드니발음 듣기], 닫는[단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2」열린 문짝, 뚜껑, 서랍 따위를 도로 제자리로 가게 하여 막다.
뚜껑을 닫다.
서랍을 닫다.
방문을 닫고 다녀라.
문을 닫아라.
옆방에서는 뭐가 그리도 바쁜지 문을 열었다 닫았다 하며 분주하게 슬리퍼 끄는 소리가 요란하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닫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닫다02’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닫-’는 중세 국어에서 후행하는 어미의 초성 ‘ㄴ’에 동화되어 ‘단-’으로 표기되기도 하였으며, 17세기의 ‘닷다’는 종성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당시의 경향에 따라 나타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닫다, 닷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닫다)
네 안 門 구디 닫고 그  드리디 말라 ≪1459 월석 23:74ㄱ
져고맛 져제셔 녜  토니 외로왼 자샌 일 門을 단놋다1481 두시-초 7:10ㄴ
16세기 : (닫다)
닫고 나디 아니며 ≪1514 속삼 효:33ㄱ
다 폐 ≪1576 신합 하:62ㄴ
17세기 : (닫다, 닷다)
主人 以下ㅣ 다 나오고 祝이 門을 다라1632 가언 9:5ㄴ
듁듁이 셩문 닫고  막더니 ≪1617 동신속 충1:9ㄴ≫
문을 닷고 블에 여 드러 죽으니라 ≪1617 동신속 충1:16ㄴ≫
18세기 : (닫다, 닷다)
샹검은 문을 다다  문침오시 길흘 막고 ≪1756 천의 1:56ㄱ-56ㄴ
門을 닷고 집의 안잣거 ≪1721 오륜전비 1:46ㄴ
19세기 : (닫다, 닷다)
신량이 닐으러 등 예비한 쳐녀과 함 연셕에 들어가고 문 다드1887 성전 마태복음 25:10
다든 문 堅閉門 ≪1895 국한 53
문을 닷고 단졍이 안져 쥭기 기리니 ≪1852 태상 3:52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