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되우/뒈우]
품사
「부사」
「001」아주 몹시.
되우 앓다.
되우 빠르다.
그 자식 의심은 되우 많네.
기운이 푹 꺼진 걸 보면 아마 되우 괴로운 모양 같다.≪김유정, 금≫

역사 정보

되오(15세기~18세기)>되우(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되우’의 옛말인 ‘되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되오’는 “반죽이나 밥 따위가 물기가 적어 빡빡하다, 몹시 심하거나 모질다”의 의미인 ‘되-’와 접미사 ‘-오’가 결합한 것이다. 19세기 이후 ‘되오’의 제2음절 모음 ‘ㅗ’가 ‘ㅜ’로 변화한 ‘되우’가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되오, 되우
세기별 용례
15세기 : (되오)
프른 뵈 되오 라 노 아 ≪1466 구방 하:63ㄱ
믈 든 뵈 되오 라 노 아 ≪1489 구간 6:30ㄴ
17세기 : (되오)
 그라 물에 우려 되오  독의 녁코 ≪1660 신구 신구황:8ㄴ-9ㄱ
19세기 : (되우)
되우 甚 ≪1895 국한 84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