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동이다발음 듣기]
활용
동이어[동이어발음 듣기/동이여발음 듣기](동여[동여]), 동이니[동이니]
품사/문형
「동사」 【…을 …에】【…을 …으로】
「001」끈이나 실 따위로 감거나 둘러 묶다.
어머니는…흰 헝겊을 머리에 질끈 동이고서 방바닥을 쳐 가며 한 차례씩 서럽게 울고 나서는 자리에 누워 버렸다.≪윤흥길, 장마≫
장작개비들을 새끼로 꽉 동이다.
머리를 질끈 수건으로 동이고 창을 들고 날뛰었다.≪홍명희, 임꺽정≫

역사 정보

이다(15세기~16세기)>동이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동이다’의 옛말인 ‘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다’는 “나무 등을 굵게 묶은 한 묶음”의 의미인 ‘’과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하나 정확하지 않다. 16세기 이후 종성 ‘ㆁ’을 표기에 쓰지 않게 됨에 따라 17세기에는 ‘동이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의 ‘동히다’는 유성음과 모음 사이에서 ‘ㅎ’의 발음이 약화되는 현상을 의식하여 ‘동이다’를 원래 ‘ㅎ’이 있는 형태로 이해하고 이를 표기에 반영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이다, 동이다, 동히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이다)
모 어 더 피 바며 도 여 두고 매로 티니 ≪1459 월석 23:73ㄱ
16세기 : (이다)
아기를 누이고 우희 제 옷 둡고 보로기로 이고1510년대 번박 상:56ㄴ
17세기 : (동이다)
손으로 불을 잡고 럴올 고 힘을 동이고17세기 마경 상:44ㄴ
18세기 : (동이다, 동히다)
絟脚 발 동이다1778 방유 술부:8ㄴ
紮纏 동히다1748 동해 하:53ㄴ
19세기 : (동이다, 동히다)
동히다 結縛 ≪1880 한불 488
텬신이 마귀 동혀 광야로 쫏차 보내니 ≪1865 주년 42ㄱ
동여 매다 結縛 ≪1895 국한 8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