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사냥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총이나 활 또는 길들인 매나 올가미 따위로 산이나 들의 짐승을 잡는 일.
토끼 사냥을 나가다.
여기는 사냥이 금지된 구역이다.

역사 정보

山行(15세기)>산(16세기~19세기)>산영(17세기~19세기)>산양(18세기~19세기)>사냥(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사냥’의 옛말인 ‘산’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산’은 한자어 ‘산행(山行)’에서 기원한 것인데, “사냥”의 의미를 지닌 ‘산행(山行)’의 예는 15세기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17세기에는 ‘ㅎ’이 탈락하고 이중 모음 ‘ㆎ’가 ‘ㅕ’로 바뀐 ‘산영’ 형태가 등장하였다. 18세기에 음성 모음 ‘ㅕ’가 양성 모음 ‘ㅑ’로 바뀐 ‘산양’이 나타난 이후 19세기부터 ‘산양’이 연철 표기 된 ‘사냥’이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른 것이다. 단 ‘사냥’은 ‘사냥질’과 같은 파생어에서만 확인된다.
이형태/이표기 山行, 산, 산, 산영, 사녕, 산양
세기별 용례
15세기 : (山行)
님금하 아쇼셔 洛水예 山行 가 이셔 하나빌 미드니가 ≪1447 용가 125
禽荒 山行 즐교미오 ≪1465 원각 하1-1:18ㄴ
淨居天이 山行 사미 외야 ≪1447 석상 3:31ㄴ
16세기 : (산)
산 수 狩 산 슈 畋 산 뎐 ≪1527 훈몽 하:4ㄴ
산   잘   사고져 노라 ≪1510년대 번박 상:62ㄴ
산 렵 ≪1527 훈몽 중:1ㄴ
17세기 : (산, 산영)
어미 봉양 지극히 효도야 산과 쳔녑 여  만난 거 초더니 ≪1617 동신속 효4:29ㄴ≫
아 나죄 겨 뫼셔 샹해 고기 자브며 산영야 며 만난 마 이바다 ≪1617 동신속 효6:5ㄴ≫
산영 고  잘  을 사고져 노라 ≪1677 박언 상:55ㄱ-ㄴ
18세기 : (山行, 산, 산영, 사녕, 산양)
公이 마초아 山行 갓더시니 ≪1737 어내 서:4ㄴ
산 렵 獵 ≪1781 왜해 하:38ㄱ
打圍 산다1748 동해 하:12ㄱ
莊王이 卽位샤 산영을 됴히 녀기거시 ≪1737 어내 2:17ㄴ
졔왕이 농  도라보지 아니고 동으로 산영며 셔로 놀믄 므 고 ≪1746 자성편 외:7ㄴ≫
父 安東將軍 周浚이 일 사녕다가 비 만나 李氏의 집의 避니 ≪1737 여사 4:54ㄱ
打圍 산양다1778 방유 亥部方言7ㄴ
19세기 : (산, 산영)
이 륙로의셔 산 졔 리 긔계오 ≪1883 이언 3:48ㄴ
롱와 길과 즘승 치기와 나무 뷔기와 산영기와 믈ㅅ고기 잡기며 ≪1889 사민필지 104≫

관용구·속담(2)

속담사냥 가는 데 총 놓고 간다
무슨 일을 하러 가면서 거기에 가장 긴요한 물건을 빠뜨리고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사냥 가는 데 총을 안 가지고 가는 것 같다
속담사냥 가는 데 총을 안 가지고 가는 것 같다
무슨 일을 하러 가면서 거기에 가장 긴요한 물건을 빠뜨리고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사냥 가는 데 총 놓고 간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