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도랑]
- 품사
- 「명사」
- 「001」매우 좁고 작은 개울.
- 도랑을 건너다.
- 도랑을 내다.
- 도랑에 빠지다.
- 동네 아이들이 도랑에서 가재를 잡고 있다.
- 웅보 아버지 장쇠는 아들의 만류도 듣지 않고 삽으로 도랑을 치고 병아리 눈물만큼 괴기 시작하는 물을 바가지로 퍼서 물통에 담았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재득이는 지겟작대기로 밭과 논과 길과 도랑과 내를 분간 못 하게 된 물바다의 깊이를 침착하게 재가며 아씨를 인도했다.≪박완서, 미망≫
- 가파른 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곧바로 도랑과 개울로 모여 아침에 쉽게 건너던 도랑이 콸콸 넘쳤습니다.≪박상규, 고향을 지키는 아이들, 창작과 비평사, 1981년≫
- 듣던 대로 농장은 그닥 크지는 않았지만, 언덕바지 잔솔밭 가로 과수원이 있고 원두막이 있는 수박밭도 있고, 과수원 옆으로 도랑도 흐르고 있어서 닷새쯤의 여름휴가를 즐기기에는 안성맞춤이었다.≪이호철, 이단자, 창작과 비평사, 1976년≫
- 그는 미리 마련해온 마른걸레를 챙겨 집 앞 도랑에 가서 빨아 왔다. 방을 말끔히 훔쳐 낸 뒤 다시 도랑에 나가 걸레를 빨고 다음 얼굴을 씻는다.≪박경리, 토지, 솔 출판사, 1994년≫
- 집 건너편 도랑의 물이 불었는지 콸콸하고 세차게 흐르는 물소리가 적막을 헤집고 들려왔다.≪이관용, 겨울 만가, 대학 출판사, 1990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도랑-챙이(강원, 평남, 황해), 도기-창(경기), 또랑(경기, 경상, 충청, 평안, 함경, 황해), 똘(경기, 전남, 충청), 똘캉(경기, 충남), 깨-또랑(경남), 냇-도랑(경남), 돌캉(경남), 새미-고랑(경남), 샘-고랑(경남), 질-도랑(경남), 테수-도랑(경남), 퉤수-도랑(경남), 도라(경북), 소-고랑(경북), 고랑(경상), 게골창(전남), 께고랑(전남), 께랑(전남), 꼬랑(전남), 꼬랭(전남), 꾸렁(전남), 도꾸랑(전남), 도랑이(전남, 충남), 또랑-창(전남), 샘-도랑(전남), 겔-창(전라), 꼴창이(전북), 뚤(전북), 도라이(제주, 함북, 중국 길림성), 또락(충남), 또랭이(충남), 똘강(충남), 똘구랑(충남), 똘창(충남), 샘-돌(충남), 개락(충북), 도랑채기(평북), 도랭이(평북), 돌-채기(평북), 돌-챙이(평북), 째-돌(평북, 중국 요령성), 걸창(평안), 도랑-차이(평안), 도랑-창이(평안), 도제기(평안), 갠-도랑(함경), 도래이(함남, 중국 흑룡강성), 도랑-개(함북), 도래(함북), 도리-개(함북), 돌씨(함북), 돌채(황해), 돌채이(황해)
역사 정보
도랑(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도랑01’의 옛말인 ‘도랑’은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도랑’은 “도랑”의 의미인 ‘돓’과 접미사 ‘-앙’이 결합한 ‘돌항’에서 ‘ㅎ’이 탈락한 것이다. 15세기에는 접미사 ‘-앙’이 결합하지 않은 ‘돓’이 쓰였는데 17세기 이후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19세기의 ‘돌항’은 ‘ㅎ’이 탈락하지 않은 형태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도랑, 돌항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속담도랑 막고 고래 잡을가
- 되지도 않을 허망한 일을 분별없이 바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도랑에 든 소
- 도랑 양편에 우거진 풀을 다 먹을 수 있는 소라는 뜻으로, 이리하거나 저리하거나 풍족한 형편에 놓인 사람 또는 그런 형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개천에 든 소’ ‘두렁에 든 소’
- 속담도랑 치고 가재 잡는다
- 일의 순서가 바뀌었기 때문에 애쓴 보람이 나타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