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도적

- 활용
- 도적만[도정만

- 품사
- 「명사」
- 「001」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빼앗는 따위의 나쁜 짓을 하는 사람.
- 도적의 무리에게 재물을 빼앗기다.
- 도적을 물리치다.
- 산속에서 도적을 만났다.
- 그러면 처음부터 경관이라고 할 일이지, 아무 말도 없이 들어와서 폭행을 하니까 도적으로 알았소그려.≪한용운, 흑풍≫
- 새 포도대장이 어찌나 도적을 잘 잡는지 몇 달 사이에 백 명을 잡아 죽였다니….≪박완서, 미망≫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구도(寇盜), 녹림-객(綠林客), 녹림-호객(綠林豪客), 녹림-호걸(綠林豪傑), 도둑, 도아(盜兒), 도인(盜人), 도적-놈(盜賊놈), 무본-대상(無本大商), 양상-군자(梁上君子), 적(賊), 적도(賊盜), 투아(偸兒)
- 지역어(방언)
- 도직(경남), 도족(평안, 함경, 황해), 도죽(평안, 중국 요령성), 조족(평안, 황해), 조적(황해)
- 옛말
- 도
역사 정보
도(15세기~17세기)>도적(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도적’의 옛말인 ‘도’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부터 한자어 ‘도적’으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른다. 15세기의 ‘도’이 한자어 ‘도적(盜賊)’에서 온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즉, ‘도적’의 제2음절 모음 ‘ㅓ’가 ‘ㆍ’로 변하여 ‘도’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15세기에는 모두 한자로만 나타나고 있어 ‘도’으로 실현되는 것과 차이를 보이고 ‘도적’이 ‘도’을 거쳐 다시 ‘도적’으로 변화했다는 과정을 상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16세기에 나타나는 ‘도즉’은 16세기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하는 경향에 따른 것이다. 17세기까지 ‘도’과 한자어 ‘도적’이 공존하였는데 17세기에 이미 ‘도적’이 더 일반적으로 쓰였다. 18세기 이후 한자어 ‘도적’이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도, 盜賊, 도적, 도적ㄱ, 도젹, 도즉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5)
- 속담도적은 제 발이 저려서 뛴다
- 지은 죄가 있으면 자연히 마음이 조마조마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도둑이 제 발 저리다’
- 속담도적의 때는 아무 때건 벗는다
- 억울하게 누명을 쓰더라도 언젠가는 사실이 밝혀져 그 누명을 벗을 수 있게 된다는 말.
- 속담도적이 돈을 빼앗지 못하면 주인 뺨이라도 때리고 뛴다
- 도둑은 결코 그냥 물러서는 법이 없고 반드시 해로운 일을 하고야 만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도적이 주인더러 밥 잡수 한다
- 도적이 주인처럼 제 마음대로 행동하면서 오히려 주인더러 ‘그 밥 잡수우.’ 한다는 뜻으로, 잘못을 저지른 자가 매우 뻔뻔스럽게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도적이 코 세운다
- 잘못한 사람이 아무런 잘못도 없는 것처럼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도적고양이 코 세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