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데릴싸위

- 품사
- 「명사」
- 「001」아내의 집에서 아내의 부모와 함께 사는 사위.
- 데릴사위를 삼다.
- 데릴사위를 들이다.
- 데릴사위로 들어가다.
- 그렇게 부지런하기로 근동에 소문났던 쇤네의 남편이 데릴사위로 들어온 지 일 년도 채 못 되어서부터 점점 게으름을 피우게 된 것이었다.≪황순원, 기러기≫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민-며느리
- 지역어(방언)
- 데릴-사우(경기, 경상, 전남, 평안,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대릴-사우(경남, 중국 흑룡강성), 디릴-사우(경남, 중국 흑룡강성), 들-사우(경북, 중국 흑룡강성), 더울-사우(경상, 중국 흑룡강성), 데리-싸우(전남, 함남), 디릴-사오(전남), 데리-사우(전라, 중국 길림성), 데릿-사우(전라), 드릴-사우(전라, 중국 길림성), 데림-사위(제주), 일난칩-사이(제주), 일난칫-사이(제주), 데리-싸웃(충청, 중국 길림성), 데리-싸위(충청, 중국 길림성), 대릿-사우(평북), 돌-싸우(평북), 들-싸우(평북), 다리-사위(함경, 중국 길림성), 다릴-사우(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대리-싸우(함경), 대리-싸이(함경, 중국 길림성), 데릴-사이(함남, 중국 흑룡강성), 다리-싸위(함북)
역사 정보
린사회(18세기)>다릴사위(19세기)>데릴사위(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데릴사위'의 옛말인 '린사회'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린사회'는 "데리다"의 의미인 '리-'의 관형사형 '린'과 "사위"의 의미인 '사회'가 결합한 통사적 구성이 굳어져 한 단어가 된 것이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ᆞ'가 'ᅡ'로 변화함에 따라 '리다'가 '다리다'로 변화하였는데, 19세기의 '다릴사위'는 '다리-'의 관형사형 '다릴'과 '사회'의 제2음절 초성 'ᄒ'이 탈락하고 모음 'ᅬ'가 'ᅱ'로 변화한 '사위'가 결합한 것이다. 20세기 이후 '다릴사위'의 제1음절 모음 'ᅡ'가 후행하는 'ᅵ' 모음의 영향으로 '데'로 변화하여 '데릴사위'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린사회, 다릴사위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