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대님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한복에서, 남자들이 바지를 입은 뒤에 그 가랑이의 끝 쪽을 접어서 발목을 졸라매는 끈.
대님을 치다.
대님을 풀다.
대님을 잘못 매면 자꾸 풀어진다.
대님 없는 중의 가랑이가 발을 옮길 때마다 누런 먼지를 푸석푸석 날리며 옆으로 피어오르게 한다.≪유현종, 들불≫
이 아침엔 아버지도 망처를 위해 단정히 대님을 치고 계실 것이었다.≪이동하, 도시의 늪≫
바지 밑에 행전 대신 대님만 매고 버선을 신고 검정 구두를 신고 있었다.≪박완서, 미망≫
풀기가 빳빳한 베옷 고의적삼에 옥색 대님, 때 묻지 않은 버선은 진솔 같았다.≪박경리, 토지≫
앉은 채로 두루마기를 벗고, 대님을 풀고 바지와 저고리를 벗었다.≪한승원, 해일≫

관련 어휘

비슷한말
진오리
참고 어휘
고계(袴係)
지역어(방언)
갑뎅이(강원, 경상), 다루-매끼(강원), 다리-매끼(강원, 함남, 황해, 중국 흑룡강성), 단님(강원, 경상, 전라, 충남, 중국 흑룡강성), 대념(강원, 경북), 대뇸(강원), 대리-맹이(강원), 대리미(강원), 대미맹이(강원), 댄님(강원, 전라), 데임(강원, 경북, 전남, 충북), 덴님(강원, 경기, 경상, 전라, 충청), 바땡이(강원, 경북), 바멩이(강원), 바쨍이(강원), 바탱이(강원, 경북), 발땡이(강원, 경북), (강원), 장이(강원), 재늄(강원), 재님(강원, 경기, 충북), 재리미(강원), 재임(강원), 쟁이(강원), 다림-매끼(경기, 황해), 대늠(경기), 대님-매끼(경기), 대리-매기(경기, 황해), 대림-매기(경기, 황해), 재눔(경기), 재늠(경기), 가부-다님(경남), 가불대이(경남), 가불댕이(경남), 가불땡이(경남), 가불떼기(경남), 가붓데이(경남), 가뿌대이(경남), 가뿌때이(경남), 까부댕이(경남), 까부때이(경남), 깝다이(경남), 깝당이(경남), 깝대기(경남), 깝대이(경남), 깝댕이(경남), 꼽대이(경남), 꼽댕이(경남), 가두땡이(경북), 가불때이(경북), 갑-다임(경북), 갑대기(경북), 갑등기(경북), 갑디기(경북), 곱댕이(경북), 까불땡이(경북), 대림(경북), 대이(경북), (경북), 댕님(경북), 디림(경북), 바때이(경북, 중국 흑룡강성), 바때임(경북), 발-대님(경북), 발대이(경북, 중국 흑룡강성), 발때이(경북), 가부대이(경상), 가부때이(경상), 가부땡이(경상), 갑대이(경상, 중국 흑룡강성), 갑댕이(경상), 갑디(경상), 갑딩이(경상), 고-매끼(경상, 평안, 함남, 황해,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다님(경상), 다임(경상, 함경, 중국 흑룡강성), 짭댕이(경상), 댕기(전남), 꼬때미(전라), 때님(전라, 중국 길림성), 잰님(전북, 충남), 다림(제주), 뎅김(제주), 낸님(충남), 개님(충북), 다념(충북), 대슴-매끼(충북), 대염(충북), 된님(충북), 잔님(충북), 재윰(충북), 골-매기(평안), 골-매끼(평안, 중국 요령성), 골맺기(평안), 대승매끼(평안), 대진-매끼(평안, 중국 요령성), 오금-매기(함경, 중국 길림성), 다니미(함남), 다러-매(함남), 다루-매(함남), 다루매기(함남), 다르-매기(함남), 다르매(함남), 다리-매기(함남), 다리-매이(함남), 다리-맹이(함남), 다리매(함남), 다림-매(함남), 다림-매이(함남), 다이매개(함남), 다쪼매(함남), 달조맹이(함남), 달조아매(함남), 달조암매(함남), 달좌매(함남), 달쪼매(함남), 달쪼배이(함남), 달쪼뱅이(함남), 오구매개(함남, 중국 흑룡강성), 오그마개(함남, 중국 흑룡강성), 가비매개(함북, 중국 길림성), 다임-매끼(함북), 다임매기(함북), 바지-매개(함북, 중국 길림성), 오곰-마개(함북), 오곰-매기(함북), 오금-마개(함북), 오금-매끼(함북), 오치라기(함북), 괴-매끼(황해), 다님-매끼(황해), 다리-마끼(황해), 다리-맥기(황해)
옛말
다님

역사 정보

다님(17세기~18세기)>대님(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대님’의 옛말인 ‘다님’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단모음 ‘ㆍ. ㅓ, ㅏ’를 지닌 단어는 후행하는 ‘ㅣ’ 모음의 영향으로 각각 ‘ㆎ, ㅐ, ㅔ’가 되는 ‘ㅣ’ 모음 역행 동화를 겪었는데, 이 영향으로 20세기 이후 ‘대님’으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다님
세기별 용례
17세기 : (다님)
小帶子 다님  ≪1690 역해 상:45ㄱ
18세기 : (다님)
腿帶 다님  ≪1775 역보 28ㄴ
腿帶子 다님  ≪1778 방유 유부:23ㄴ

다중 매체 정보(1)

  • 대님
    대님

    대님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