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빈나다

- 활용
- 빛나[빈나


- 품사
- 「동사」
- 「001」빛이 환하게 비치다.
- 조명이 환하게 빛나다.
- 하늘에 별이 빛난다.
- 북두칠성은 금강석을 바수어서 끼얹은 듯이, 찬란히 빛나고 있다.≪심훈, 상록수≫
- 어둠이 다가온 모래사장엔 아직 물기 덜 마른 나뭇가지에서 튕기는 탁탁거리는 모닥불이 빛나고 있었다.≪최인호, 미개인≫
- 새벽별이 빛나는 하늘에선 한 줄기 미명을 가르며 아침 기운이 뻗질러 내려오고 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역사 정보
빗나다(15세기~19세기)>빛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빛나다’의 옛말인 ‘빗나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빛”의 뜻인 ‘빗’과 ‘나다’가 결합한 것이다. ‘빛’은 15세기에 ‘빗’으로 쓰였으며 받침 표기의 혼란으로 ‘빋’으로도 쓰였다. ‘빋나-’는 이러한 현상을 반영한 표기이고 ‘빈나-’는 ‘빋’의 ‘ㄷ’이 뒤의 ‘ㄴ’의 영향을 받아 ‘ㄴ’으로 바뀐 것을 반영한 표기이다. 19세기에 보이는 ‘빗-’는 ‘ㆍ’ 표기의 문란으로 ‘ㆍ’가 ‘ㅏ’로 표기되기도 하면서 반대로 원래 ‘ㅏ’인 용언들이 ‘ㆍ’로 표기되기도 하였는데 ‘빗-’는 이런 현상을 반영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빗나다, 빋나다, 빈나다, 빗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