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뻑뻐카다

- 활용
- 뻑뻑하여[뻑뻐카여](뻑뻑해[뻑뻐캐]), 뻑뻑하니[뻑뻐카니]
- 품사
- 「형용사」
- 「001」물기가 적어서 부드러운 맛이 없다.
- 밀가루 반죽이 뻑뻑하다.
- 빵이 너무 뻑뻑해서 먹기가 어렵다.
- 강은 화사한 초록이었고 뻑뻑한 강의 개흙 판 너머로 어시장이 형성돼 있었다.≪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빡빡-하다
역사 정보
다(19세기)>뻑뻑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뻑뻑하다’의 옛말인 ‘다’는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과 ‘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인데 ‘ㅅ’계 합용 병서가 각자 병서로 바뀌고 20세기 초 ‘다’의 표기법이 ‘하다’로 정착됨에 따라 현재의 어형으로 쓰이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