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다시마

- 품사
- 「명사」
- 분야
-
『생명』
- 학명
- Laminaria japonica
- 「001」갈조류 다시맛과의 하나. 길이가 2~4미터이고 몸이 누르스름한 갈색 또는 검은 갈색이며, 바탕이 두껍고 미끄럽다. 식용하고 요오드의 원료가 된다. 한해성 식물로 태평양 연안에 20여 종이 있다. 뿌리로 바위에 붙어 사는데 제주, 거제도, 흑산도 등지에 분포한다.
- 감잣국에 넣을 다시마를 자르다가 얼결에 떨어뜨린 가위가 아슬하게 발가락을 비껴 나가는 순간, 나는 아까부터 내 기억을 간질이던 기시감의 정체를 찾아냈다.≪이혜경, 꽃그늘 아래, 창작과 비평사, 2002년≫
- 우동그릇 속에 빠져 다시마처럼 위장하고 있는 바퀴벌레를 발견한 거야.≪강영숙, 날마다 축제, 창작과 비평사, 2004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다시매(강원, 경상, 전북), 타매(강원), 타스매(강원), 타시마(강원, 경남), 타시매(강원, 경상), 곤패(경남), 곤피(경남), 곰푸(경남), 다시미(경남, 전남), 구피(경북), 넙곽(제주)
- 옛말
- 다마
역사 정보
다마(15세기~18세기)>다시마(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다시마'의 옛말인 '다마'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마'는 16세기 후반 이후 제2음절 모음 'ᆞ'가 다른 모음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19세기에 '다시마'가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의 '다사마'와 '다스마'는 각각 '다마'의 제2음절 모음 'ᆞ'가 'ᅡ'와 'ᅳ'로 변화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다마, 다사마, 다스마, 다시마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