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보시기

- 품사
- 「명사」
- 「001」김치나 깍두기 따위를 담는 반찬 그릇의 하나. 모양은 사발 같으나 높이가 낮고 크기가 작다.
- 김치 보시기.
- 보시기에 깍두기를 담다.
관련 어휘
- 준말
- 보
- 지역어(방언)
- 보재기(강원, 충북), 복지기(강원), 보새기(경기, 전라, 충청, 함경, 중국 길림성), 종바래(경기), 국-단지(경북, 중국 흑룡강성), 깽끼(경북), 욕시끼(경북, 중국 흑룡강성), 종바리(경북), 종발(경북), 종지기(경북), 중바리(경북), 보시(경상), 중발(경상, 전라), 툭바리(경상), 보세기(전남, 제주), 보삭지(전라, 충남), 깍재이(전북), 복지개(전북), 복지깨(전북), 뽀시개(전북), 짐치-대접(전북), 보사기(충남), 보수(충남), 김치-그륵(충북), 바새기(충북), 시기(충북), 보서기(충청, 중국 길림성), 보생이(평남), 갱-사발(평북), 등발(평북), 통배기(평북, 함남), 보기(평안), 쉐테비(함경)
- 옛말
- 보
역사 정보
보(16세기)>보(17세기~18세기)>보시기(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보시기’의 옛말인 ‘보’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17세기에 ‘ㅿ’의 음가 소실로 ‘보’로 나타나는데 현대 국어의 ‘보시기’는 ‘보’의 ‘ㅿ’이 ‘ㅅ’으로 유지된 형태인 ‘보’에 ‘기’ 자체 또는 ‘기’를 포함하는 접미사가 붙은 형태인 것으로 추정된다. |
---|---|
이형태/이표기 | 보, 보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