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눈ː발음 듣기]
품사
「명사」
「014」대기 중의 수증기가 찬 기운을 만나 얼어서 땅 위로 떨어지는 얼음의 결정체.
눈이 내리다.
눈이 쌓이다.
눈이 녹다.
눈을 쓸다.
덮인 겨울 산이 하얗다.
눈을 뭉쳐 눈사람을 만들었다.
뒷짐을 지고 큰 키를 구부정히 구부린 종구는 허옇게 깔린 눈을 밟으며 집 안으로 들어왔다.≪한수산, 유민≫
새벽이 되었을 때 천막을 들추어 보니 눈은 그쳐 있었다. 그러나 그대로 더 있다가는 얼어 죽을 것 같아 그는 다시 배낭을 꾸려 짊어졌다.≪김용성, 리빠똥 장군≫
목포에 와서 헤아릴 수도 없을 만큼 눈을 맞아 보았지만 그날 장개동이의 눈에 비친 눈은 여느 눈과는 색다르게 느껴졌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역사 정보

눈(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눈’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세기별 용례
15세기 : (눈)
조코 요미  거시라 ≪1447 석상 21:46ㄴ
하 오거늘 삿기 얼까 야 ≪1459 월석 11:5ㄴ-6ㄱ
眞實로 내 남지니어든 이베 드러 눈티 노가 갓브리 외리라 ≪1460년경 삼강-런던 열:24
16세기 : (눈)
셜 ≪1527 훈몽 상:1ㄴ
곳 예 나 춤츠니 어즈러은 눈이오16세기 중엽 이후 백련-동 2ㄱ
17세기 : (눈)
臘雪水 섯 납향  온 노근 믈 ≪1613 동의 1:15ㄱ
대풍이며 비 릴 제 헤 안자 ≪1617 동신속 열6:12ㄴ≫
하히 고 서리와 눈괘 하거 ≪1632 두시-중 1:16ㄱ
18세기 : (눈)
 젼 밤 의 눈을 고 샹을 마자 뵈니 ≪1758 종덕 중:34ㄴ
오 밤이면 묘측에 업여 울기 긋치디 아니니 ≪1797 오륜 효:51ㄴ
19세기 : (눈)
예수의 몸이 빗 고 옷시 치 흼을 보고 ≪1865 주년 64ㄴ
방촌의 음 속이 어름과 갓고 ≪1880 삼성 22ㄴ

다중 매체 정보(3)

관용구·속담(9)

속담눈 먹던 토끼 얼음 먹던 토끼가 제각각
눈을 먹고 살던 토끼와 얼음을 먹고 살던 토끼가 다르다는 뜻으로, 사람은 자기가 겪어 온 환경에 따라서 그 능력이 다르고 생각이 다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눈 집어 먹은 토끼 다르고 얼음 집어 먹은 토끼 다르다
속담눈 본 대구 비 본 청어
눈이 내릴 때는 대구가 많이 잡히고 비가 올 때는 청어가 많이 잡힌다는 것을 이르는 말.
속담눈 속에서 벼락이 떨어지듯
자다가 벼락을 맞는다’의 북한 속담.
속담눈 오는 날 개 싸다니듯
눈이 오면 개들이 좋아하고 달려 나와서 돌아다닌다는 뜻으로, 쓸데없이 돌아다니기 좋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눈 온 뒤에는 거지가 빨래를 한다
눈이 온 다음 날은 거지가 입고 있던 옷을 벗어 빨아 입을 만큼 따스하다는 말.
속담눈 와야 솔이 푸른 줄 안다
어려운 상황이 되어야 그것을 이기는 것을 보고 사람의 진짜 됨됨이를 알 수 있게 된다는 말.
속담눈 위에 서리 친다
어려운 일이 공교롭게 계속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기침에 재채기’ ‘고비에 인삼’ ‘마디에 옹이’ ‘얼어 죽고 데어 죽는다’ ‘옹이에 마디’ ‘하품에 딸꾹질’ ‘하품에 폐기
속담눈을 져다가 우물을 판다
눈을 가져다가 가만히 두어도 물이 될 것을 거기에 또 우묵히 파서 물이 나게 한다는 뜻으로, 일 처리가 둔하고 답답한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눈 집어 먹은 토끼 다르고 얼음 집어 먹은 토끼 다르다
눈을 먹고 살던 토끼와 얼음을 먹고 살던 토끼가 다르다는 뜻으로, 사람은 자기가 겪어 온 환경에 따라서 그 능력이 다르고 생각이 다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눈 먹던 토끼 얼음 먹던 토끼가 제각각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