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냉이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식물』
학명
Capsella bursapastoris
「001」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 이른 봄에 들에서 자라며 어린잎과 뿌리는 향기가 좋아 나물로 무치거나 국으로 끓여 먹는다.
냉이를 캐다.
바구니에는 애쑥이며 냉이 같은 봄나물이 가득하다.

관련 어휘

비슷한말
제채(薺菜)
지역어(방언)
나상우(강원), 나새이(강원, 경기, 경상, 전남, 충북), 남새이(강원), 낭생이(강원), 내이(강원, 경기, 경상, 전북, 충청, 평안, 황해, 중국 요령성), 나시(경기, 경상, 전남, 충북, 함경), 구리이-젓(경남), 구링이-좃(경남, 전남), 나사니(경남), 나상이(경남, 전남, 충청), 나쇄이(경남), 나쇙이(경남), 나수래이(경남), 나스댕이(경남), 나스래이(경남), 나스랭이(경남), 나승개(경남, 전라, 충청), 나시개이(경남), 나시갱이(경남), 나싱이(경남, 충북), 난생이(경남), 난쇄이(경남), 납사이(경남), 내사이(경남), 시게이(경남), 시겡이(경남), 신-나물(경남), 신-나이(경남), 신-내이(경남), 씬-냉이(경남), 씬-너물(경남), 씸-냉이(경남), 나생이(경북), 나시이(경북, 충남), 나이(경북, 평안, 중국 요령성), 난싱이(경북), 난지(경북, 제주), 날쌔이(경북), 야시개이(경북), 야시갱이(경북), 나사이(경상, 충북), 나수렝이(경상), 나숭개(경상, 전라, 충청), 나시래이(경상), 나시랭이(경상, 전남), 난새이(경상, 전남, 제주), 난쇙이(경상, 제주), 날생이(경상), 내사니(경상), 신-냉이(경상), 씬-내이(경상), 씸-내이(경상), 나상개(전남, 충남), 나상게(전남), 나상구(전남), 나생기(전남), 나수(전남), 나중개(전남), 남수(전남), 좁쌀-갱이(전남), 야숭개(전라, 중국 길림성), 나싱개(전북, 충북), 매운-때(전북), 난상이(제주), 난셍이(제주), 난시(제주), 난재이(제주), 난젱이(제주), 난젱이-풀(제주), 난지-쿨(제주), 난지-풀(제주), 나생갱이(충남), 나슁개(충남), 나슴개(충남), 나승개이(충남), 나승깨(충남), 나승캐(충남), 나쑹개(충남), 나씅개(충남), 나씽갱이(충남), 낙신개이(충남), 나싱기(충북), 나씨(충북), 나승갱이(충청), 나싱개이(충청), 나씽개(충청), 낭이(평남), 냉내이(평북), 낭나이(평안), 낭낭이(평안), 내기(함북), 냉키(함북), 노애기(함북, 중국 길림성), 얘이(황해), 얭이(황해), 예이(황해)
옛말
나

역사 정보

나(15세기~16세기)>나이(17세기)>낭이(18세기~19세기)>냉이(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냉이’의 옛말인 ‘나’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6세기에 일어난 자음 ㅿ의 소실에 따라 17세기에는 ‘나이’ 형태가 등장하였다. 18세기에는 모음 사이에 ㅇ[ŋ]이 더해진 ‘낭이’가 등장하였고, 19세기에는 ㅣ모음 역행동화의 영향으로 ‘낭이’가 ‘냉이’로 변화하였다. 한편 17~18세기 문헌에는 ‘나이’의 모음 사이에 ‘ㅎ’이 첨가된 ‘나히’ 형태도 보이며, 여기에 ‘ㅇ’[ŋ]이 더해진 ‘낭히’도 18세기 문헌에 나타났다.
이형태/이표기 나, 나이, 낭이, 냉이, 나히, 낭히
세기별 용례
15세기 : (나)
뉘 엿귀 다 니뇨 로미 나 도다 ≪1481 두시-초 8:18ㄱ
16세기 : (나)
나 졔 ≪1527 훈몽 상:7ㄴ
17세기 : (나이, 나히)
薺菜 나이1613 동의 2:30ㄴ
薺菜 나히1690 역해 하:11ㄴ
18세기 : (낭이, 나히, 낭히)
낭이 졔 薺 ≪1781 왜해 하:5ㄴ
甘薺菜 나히1748 동해 하4ㄱ
野薺菜 낭히1778 방유 술부:28ㄱ
19세기 : (낭이, 냉이)
낭이 (薺菜) ≪1810 몽유 상:14ㄴ
나시 薺 草名 或稱 낭이1895 국한 55
냉이 薺 ≪1895 국한58≫

다중 매체 정보(1)

  • 냉이

    냉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