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낟꼳]
활용
낯꽃이[낟꼬치], 낯꽃만[낟꼰만]
품사
「명사」
「001」감정의 변화에 따라 얼굴에 드러나는 표시.
영호는 길로 나서면서부터 지나치는 사람들의 낯꽃을 유심히 보았다.≪채만식, 소년은 자란다≫
그는 가장으로서의 체통을 잃지 않는 범위 안에서 가급적이면 가족들한테 웃는 낯꽃을 보이려고 노력했다.≪윤흥길, 완장≫

관련 어휘

비슷한말
기색(氣色)
참고 어휘
낯-꼴, 낯-빛, 표정(表情)

역사 정보

곶(15세기~18세기)>곷(16세기)>낯꽃(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낯꽃’의 옛말인 ‘곶’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곶’은 “얼굴”의 의미인 ‘’과 “꽃”의 의미인 ‘곶’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15세기의 ‘’은 종성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의 여덟 종성만 쓸 수 있다는 8종성법에 따라 ‘’으로 표기되었다. 16세기의 ‘곷’은 ‘곶’의 제2음절 종성 ‘ㅈ’이 ‘ㅊ’으로 변화한 것이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됨에 따라 ‘곷’의 ‘’이 ‘낫’으로 변화되었고, ‘곷’의 초성 ‘ㄱ’이 된소리화되어 ‘꽃’으로 나타나게 되면서 20세기 이후 ‘낯꽃’으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의 ‘곳’은 ‘곷’의 제2음절 종성 ‘ㅊ’이 종성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의 여덟 자음만을 쓸 수 있다는 8종성법에 따라 ‘ㅅ’으로 표기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곶, 곷, 곳ㅊ, 곳
세기별 용례
15세기 : (곶)
舍利弗이 측 고지 잇거늘 ≪1447 석상 6:36ㄴ
16세기 : (곷, 곳ㅊ)
寬이 고 달이 아니야 날회여 닐오 ≪1518 번소 10:3ㄱ
 말와 과 곳 아니며 ≪1518 번소 10:23ㄱ
18세기 : (곳)
皮氣 곳 다 ≪1775 역보 24ㄱ
面有嗔色 셩낸 곳1790 몽보 7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