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벌ː

- 품사
- 「명사」
- 분야
-
『동물』
- 「005」벌목의 곤충 가운데 개미류를 제외한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0.1~2cm이며, 몸은 머리·가슴·배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다. 머리에는 한 쌍의 겹눈과 더듬이, 세 개의 홑눈이 있고 가슴에는 두 쌍의 막성 날개와 세 쌍의 다리가 있으며 배는 많은 환절로 되어 있다. 입은 씹거나 꿀 따위를 빨기에 알맞고 대개는 몸 끝에 산란관의 독침이 있어 적을 쏜다. 곤충 중에서 가장 큰 무리로 전 세계에 12만 종 이상이 분포하는데 꿀벌과, 송곳벌과, 호박벌과, 맵시벌과, 말벌과 따위가 있다.
- 벌에 쏘인 자리가 부어오른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부얼(강원, 경기), 불(강원, 경기), 붤(강원, 경기, 전북, 충청), 볼(경기, 충남), 붜리(경기), 버리(경남, 황해), 동구(전남), 부리(충남)
- 옛말
- 버리
역사 정보
벌(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벌’과 동일한 형태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에 ‘벌’과 함께 ‘버리’도 나타나는데, ‘버리’는 ‘벌’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벌’과 ‘버리’는 19세기까지 공존하다가 20세기 이후 ‘벌’이 정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벌, 버리 |
세기별 용례 |
|
수어 정보수어 사전 보기
관용구·속담(5)
- 속담벌도 법이 있지
- 벌과 같은 곤충의 생활에도 일정한 질서가 있는데 하물며 사람에게 제도와 질서가 없을 수 있겠느냐는 뜻으로, 인간 사회의 무법함을 이르는 말.
- 속담벌은 쏘아도 꿀은 달다
- 벌에 쏘이면 아프지만 벌이 만들어 놓은 꿀은 달다는 뜻으로, 성가신 장애물이 있기는 하지만 자기에게 이로운 것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벌이 역사하듯
- 여럿이 손을 모아 일을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