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배꼽

- 활용
- 배꼽만[배꼼만

- 품사
- 「명사」
- 분야
-
『생명』
- 「001」탯줄이 떨어지면서 배의 한가운데에 생긴 자리.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배-꼬지(강원), 배-꿈(강원, 경상), 배-꿉(강원, 경기, 경상, 전라, 평안, 함경, 황해,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뱃-구머(강원), 뱃-구멍(강원, 경상, 전남, 중국 흑룡강성), 배-꾸녁(경남, 평안, 황해), 배-꾸락지(경남, 전남), 배-꾸영(경남), 배-꾸중(경남), 뱃-구넉(경남), 뱃-구늉(경남), 뱃-구먹(경남, 전남), 배-구무(경북), 배-구뭉(경북), 배-구영(경북), 배-꾸부(경북), 배-꾸북(경북), 배-꾸양(경북), 배-뿡기(경북), 배-총(경북), 배끼(경북), 배치(경북), 배-구녕(경상), 배-구멍(경상), 배-꾸무(경상), 뱃-구녕(경상), 뱃-구목(경상), 뱃-구무(경상), 뱃-구뭉(경상), 뱃-구미(경상), 뱃-구영(경상, 전남, 중국 흑룡강성), 뱃-굼(경상), 배-꼬락(전남), 배-꼬래(전남), 배-꼬리(전남), 배-꼬마(전남), 배-꼬마리(전남), 배-꼬막(전남), 배-꼭(전남), 배-꼭지(전남), 배-꼼(전남), 배-꼼지(전남), 배-꽁(전남), 배-꾸락(전남), 배-꾸마리(전남), 배-꾸말(전남), 배-뽕(전남), 뱃-구녁(전남), 베-뽕(전남), 배-고마(전라), 배-꼬락지(전라), 배-꾸라지(전라), 배-꾸리(전라), 배-또롱(제주), 배-똥(제주), 베-또꼬냥(제주), 베-또롱(제주), 베-똥(제주), 태-꼽(胎꼽)(평북), 배-뿌기(함경), 배-뿍(함경, 황해), 배-꾸비(함남, 중국 흑룡강성), 뱃-굼기(함남)
역사 정보
복(15세기~18세기)>곱(18세기~19세기)>배꼽(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배꼽’의 옛말인 ‘복’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복’은 명사 ‘’와 관형격조사 ‘ㅅ’, 그리고 명사 ‘복’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18세기에 제2음절의 첫소리 ‘ㅂ’과 끝소리 ‘ㄱ’의 위치가 바뀌어 ‘곱’이 되었다. 이와 같이 음운 도치가 일어난 것은 제1음절과 제2음절의 초성이 모두 양순자음인 ‘ㅂ’이고 제2음절의 모음이 원순모음인 ‘ㅗ’로 원순성이 반복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함에 따라 이중모음 ‘ㆎ’[ʌy]는 ‘ㅐ’[ay]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제1음절 끝소리 ‘ㅅ’의 영향으로 제2음절의 첫소리 ‘ㄱ’가 된소리가 되면서 현대 국어와 같은 ‘배꼽’이 되었는데 이 형태가 문헌 상으로 확인되는 것은 20세기 이후의 일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복, , 복, , 곱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3)
- 관용구배꼽도 덜 떨어지다
- 탯줄 끊은 자국도 채 떨어지지 않은 어린애이다.
- 관용구배꼽 밑에 털 나다
- 자라서 어른이 되다.
- 배꼽 밑에 털 난 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그 모양이냐?
- 관용구배꼽에서 떨어지다
- 이 세상에 태어나다.
- 나는 그 녀석이 제 어미 배꼽에서 떨어졌을 때 범처럼 용맹하라고 호남이라고 이름을 지었지. ≪선대≫
- 관용구배꼽을 맞추다
- 남녀가 정을 통하다.
- 쯧쯧 말세다 말세야, 만난 지 하루 만에 배꼽을 맞추다니.
- 관용구배꼽(을) 쥐다[잡다]
- 웃음을 참지 못하여 배를 움켜잡고 크게 웃다.
- 그 얘기를 듣자 모두 배꼽을 쥐었다.
- 그녀는 지금 이 글을 읽으며 배꼽을 잡고 있을 것이다.
- 관용구배꼽(이) 웃다
- 하는 짓이 하도 어이가 없거나 어린아이의 장난 같아서 가소롭기 짝이 없다.
- 배꼽 웃을 얘기 하지도 마시오. ≪박경리, 토지≫
- 속담배꼽 떨어진 고장
- 태어난 고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배꼽에 노송나무 나거든
- 사람이 죽은 뒤 무덤 위에 소나무가 나서 노송이 된다는 뜻으로, 기약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절로 죽은 고목(枯木)에 꽃 피거든’
- 속담배꼽에 어루쇠를 붙인 것 같다
- 배꼽에 거울을 붙이고 다녀서 모든 것을 속까지 환히 비추어 본다는 뜻으로, 눈치가 빠르고 경우가 밝아 남의 속을 잘 알아차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배꼽은 작아도 동지 팥죽은 잘 먹는다
- 얼핏 보기에는 사람이 변변치 않은 것 같으나 하는 일이 녹록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배꼽이 하품하겠다
- 너무 어이없고 가소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