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발짜취

- 품사
- 「명사」
- 「001」발로 밟고 지나갈 때 남는 흔적. 또는 그때 나는 소리.
- 발자취를 남기다.
- 거리에는 벌써 행인의 발자취가 끊기고 군데군데의 구멍가게는 문을 닫았다.≪심훈, 영원의 미소≫
- 별안간 방문이 환해지며 횃불을 들고 오는 듯한 발자취가 벌써 우둥우둥 마루에서 났다.≪현진건, 무영탑≫
역사 정보
발자최(17세기~19세기)>발자취(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발자취’의 옛말인 ‘발자최’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발’과 ‘자취’의 합성인데 ‘자취’의 옛말은 ‘자최’이다. ‘자취’는 18세기, 19세기에 ‘, 최, 잣최, 최’ 등 여러 가지 표기로 쓰였는데 그중 19세기에 ‘발잣취’의 용례가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발자최, 발자취, 발잣최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