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발짜취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발로 밟고 지나갈 때 남는 흔적. 또는 그때 나는 소리.
발자취를 남기다.
거리에는 벌써 행인의 발자취가 끊기고 군데군데의 구멍가게는 문을 닫았다.≪심훈, 영원의 미소≫
별안간 방문이 환해지며 횃불을 들고 오는 듯한 발자취가 벌써 우둥우둥 마루에서 났다.≪현진건, 무영탑≫

관련 어휘

비슷한말
족적(足跡/足迹)
지역어(방언)
발-자치(경남)
옛말
발-자최

역사 정보

발자최(17세기~19세기)>발자취(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발자취’의 옛말인 ‘발자최’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발’과 ‘자취’의 합성인데 ‘자취’의 옛말은 ‘자최’이다. ‘자취’는 18세기, 19세기에 ‘, 최, 잣최, 최’ 등 여러 가지 표기로 쓰였는데 그중 19세기에 ‘발잣취’의 용례가 보인다.
이형태/이표기 발자최, 발자취, 발잣최
세기별 용례
17세기 : (발자최)
어버의 상 만나 녀묘 딕킈여 슬허 브르지지되 발자최 문 밧긔 나디 아니더라 ≪1617 동신속 효5:24ㄴ≫
18세기 : (발자최)
그 자최를 즌 즉 눈 우희 큰 발자최 이셔 분명 지라 ≪1777 명의 권수상:47ㄴ
사이 업더니 홀연히 듯오시니 발자최 소 보쟝문(존현각 겻문이라) ≪1778 속명의 1:1ㄴ
그 드고 오른 곳에 박히인 발자최 이시며 업슴을 보라 ≪1792 무원 2:8ㄴ≫
19세기 : (발자최, 발자취, 발잣최)
마치 길희셔 발자최 보면 곳가히 조차써 그 사을  지라 ≪1892 성직 1:41ㄱ
그 후에 회회국 사이 그 발자최 나흘 가져가 ≪1897 주교 상:58ㄱ
사의 발자취 소도 어지러히 들니지라 ≪1894 천로 상:71ㄴ
발잣최 足跡 ≪1895 국한 13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