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가시

- 품사
- 「명사」
- 분야
-
『식물』
- 「005」식물의 줄기나 잎 또는 열매를 싸고 있는 것의 겉면에 바늘처럼 뾰족하게 돋아난 것. 식물이 제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지나 잎이 뾰족하게 변태한 것이다.
- 장미 가시.
- 선인장 가시에 찔리다.
- 아카시아는 그 독기 어린 가시로 무장한 채 나를 노려보는 것이었다.≪박경리, 원주통신≫
- 탱자나무는 대부분 서민 집들의 앞 울타리 노릇을 했고, 대나무는 뒤 울타리 노릇을 했다. 억센 가시를 가지마다 촘촘히 달고 있는 탱자나무는 그 생김과는 다른 전설을 가지고 있었다.≪조정래, 태백산맥≫
- 모래 언덕에 어우러진 해당화가 생각났다. 그 해당화를 꺾어서 가시를 모두 갉아 내고 그녀의 손에 잡혀 주던 희수도 생각났다.≪한승원, 해일≫
- 가시 모양은 줄기에서 쉽게 부러지지만 가시는 나무 조직의 일부이기 때문에 잘 부러지지 않는다.≪도널 에이 부리스, 상식 속의 상식, 서울, 장락, 1994년≫
- 가시에 독이 있는 것은 아니고, 그저 아름다운 꽃과 열매를 지키기 위해 그런 나무들에는 가시가 있는 거라고.≪나희덕, 반통의 물, 창작과 비평사, 1999년≫
- 따끔하게 찔려서 아프다고 느껴지는 것은 가시 돋친 쐐기풀에 부딪친 때문이다.≪파브르, 곤충기, 마당 미디어, 1994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가(15세기~19세기)>가싀(17세기~19세기)>가시(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가시’의 옛말인 ‘가’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6세기 이후로 비어두음절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는 현상에 따라 17세기에는 ‘가>가싀’의 변화가 일어났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으로 인해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가시’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가, 가싀, 가시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3)
- 속담가시 돋은 꽃이 더 곱다
- 그저 순하고 얌전하기만 한 여자보다도 성미가 만만찮은 여자가 더 좋게 느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가시 찔리지 않고 밤 먹을 사람
- 밤송이의 그 숱한 가시에 단 한 번도 찔리지 않고 밤을 까먹을 사람이라는 뜻으로, 매우 약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가시한테 찔려야 밤 맛을 안다
- 밤알을 얻느라고 밤송이를 까면서 밤 가시에 찔려 봐야 밤 맛이 어떻다는 것을 톡톡히 알 수 있다는 뜻으로, 고생스럽게 힘을 들여야 일의 보람을 찾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