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하나

- 품사
- 「명사」
- 「006」((‘하나의’ 꼴로 쓰여)) ‘일종의’의 뜻을 나타내는 말.
- 아베에 대한 얘기는 누구의 입에서도 꺼내기 겁내는 하나의 터부처럼 돼 있었던 것이다.≪전상국, 아베의 가족≫
- 그런 그의 축 처진 뒷모습에서 또 하나의 상처와도 같은 일련의 기억을 떠올렸다.≪이문열, 영웅시대≫
- 당사자들은 저만치 놓아두고 집안과 집안 사이가 맺어지는 것이었고, 당사자들은 두 집안이 맺어지는 데 하나의 구색일 뿐이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 심히 외람스러운 얘기가 될 것이지만 선생님이 이것을 저 개인의 문제라고 생각하기보다 하나의 사회 문제로서 읽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 분명히 내 손아귀에는 어떤 도전의 대상이 쥐어졌고, 그런 대상이 있다는 자체가 하나의 가능성이며, 이 시궁창 같은 사회가 내게 베푸는 최소한의 친절일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낳(15세기~19세기)>나(18세기~19세기)>하나(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하나’의 옛말인 ‘낳’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낳/나’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 -곰’ 등과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고,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이었다. 이러한 ㅎ의 흔적은 현대 국어 구어의 “하나토 없다”와 같은 발음에 남아있다. 18세기에 끝소리 ㅎ이 탈락한 ‘나’의 예가 나타나기 시작하나, ‘낳’ 형태 역시 19세기까지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변함에 따라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하나’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한편 15세기~19세기에는 제2음절의 초성 ㄴ의 영향으로 제1음절에 종성 ㄴ이 첨가된 ‘낳, 나, 한낳, 한나’의 예도 나타났는데, ‘낳/나’의 경우는 이미 16세기부터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예도 보인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
---|---|
이형태/이표기 | 낳, 나, 하낳, 하나, 낳, 나, 한낳, 한나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