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가시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4」남을 공격하거나 불평불만의 뜻을 담은 표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엄마는 연방 함박꽃 같은 웃음으로 입을 벙실대며 그런 소리를 했지만 말 속엔 가시가 있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그 음색 없던 속삭임이 왜 그렇게 똑똑히 들리는지 한 마디 한 마디가 가시가 되어 여란이의 청각과 자존심을 찔렀다.≪박완서, 미망≫
윤 씨는 이환수 씨의 일갈에 당장 사그라지면서도 말 속에 가시가 섞여 있었다. 요즘의 윤 씨는 그전 같지 않게 가끔 짜증을 부렸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너 이상하구나. 아까부터 느꼈지만 너 말투엔 가시가 있는 것 같다. 혹 내가 너 잘못되기를 바라기라도 했단 말이냐?≪박경리, 토지≫
선희의 말에 가시가 있었으나, 영애는 느끼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느꼈어도 무시하고 내색하지 않는 것인지, 그녀는 웃는 표정을 지으며 텐트 쪽으로 걸어갔다.≪정현웅, 사랑은 사슴처럼, 청한, 1992년≫
그럴 때 가장 좋은 방법은 그의 가시 돋친 논리를 슬쩍 옆으로 비켜서 지나가는 것이었다.≪채영주, 시간속의 도적, 열음사, 1993년≫
태임이는 무식한 척 웃으면서 말했지만 말 속에 든 가시를 놓칠 리 없는 여란이었다.≪박완서, 미망≫
그냥 예사로 주고받은 말이 아니라 아주 가시 돋친 말이었기 때문입니다.≪권정생, 바닷가 아이들, 창작과 비평사, 1988년≫
그러자 최성민은 그의 말에 가시가 있는 것을 느끼고 입을 열었다.≪정현웅, 사랑은 사슴처럼, 청한, 1992년≫

역사 정보

가(15세기~19세기)>가싀(17세기~19세기)>가시(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가시’의 옛말인 ‘가’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6세기 이후로 비어두음절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는 현상에 따라 17세기에는 ‘가>가싀’의 변화가 일어났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으로 인해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가시’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가, 가싀, 가시
세기별 용례
15세기 : (가)
棘草 가와 프귀왜라 ≪1459 월석 10:117ㄴ
가 해 들며 시혹 바와 가와 대와 나모 여러 날 나디 아니야 알닐 고툐 ≪1466 구방 하:2ㄱ
16세기 : (가)
가  棘 가 극 ≪1527 훈몽 상:5ㄴ
17세기 : (가, 가싀)
비한면 몸을 며 터럭기 가 고 ≪17세기 마경 상:36ㄱ
魚刺兒 고기ㅅ 가1690 역해 하:38ㄴ
嗓子閣刺 목에 가싀 걸리다 ≪1690 역해 하:53ㄴ
18세기 : (가, 가싀)
가 덤블을 헤티고 효의 집에 니니 ≪1797 오륜 효:61ㄱ
가싀 덤불이 네 녁 막히여 분변 길히 업니 ≪1797 오륜 열:50ㄴ
刺子 가싀 戳刺 가싀 바키다 ≪1748 동해 하:8ㄴ
19세기 : (가, 가싀, 가시)
물이 을 찌이 이 니 가라 닐이 가치 아니냐 ≪1892 성직 96ㄴ
길 걸니 가싀남글 버히며 길 것치 돌을 업시 며 ≪1876 남궁 8ㄴ
가시 荊棘 荊榛 ≪1895 국한 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표현상위어본말/준말비슷한말참고 어휘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가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