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하나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5」((주로 ‘하나도’ 꼴로 쓰여 뒤에 오는 ‘없다’, ‘않다’ 따위의 부정어와 호응하여)) ‘전혀’, ‘조금도’의 뜻을 나타내는 말.
하나도 즐겁지 않다.
뭐가 뭔지 하나도 모르겠다.
너한테는 잘못이 하나도 없다.
나는 하나도 아쉬울 것이 없다.
모든 것이 이 년 전이나 지금이나 하나도 달라진 것이 없는 주막이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나는 입을 다물었다. 그의 말은 하나도 틀린 것이 없었다.≪최인호, 돌의 초상≫
살고 싶은 생각은 하나도 나지 않고 눈물마저 메말라 버린 저희 주부들은 점점 체념 상태에 빠져드는 것 같습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어물전의 커다란 시장 건물은 그 모양새가 이십구 년 전과 하나 다를 바 없었고, 빈 고기 상자가 가득 쟁인 컴컴한 그 안도 예나 마찬가지였다.≪김원일, 노을≫
을 감은 채로 미동도 없이 가부좌의 자세를 유지하고 있었지만 좌중의 말을 하나도 빠짐없이 듣고 있었던 모양으로 그의 얼굴에도 호기심이 서려 있었다.≪황인경, 소설 목민심서≫

역사 정보

낳(15세기~19세기)>나(18세기~19세기)>하나(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하나’의 옛말인 ‘낳’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낳/나’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 -곰’ 등과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고,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이었다. 이러한 ㅎ의 흔적은 현대 국어 구어의 “하나토 없다”와 같은 발음에 남아있다. 18세기에 끝소리 ㅎ이 탈락한 ‘나’의 예가 나타나기 시작하나, ‘낳’ 형태 역시 19세기까지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변함에 따라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하나’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한편 15세기~19세기에는 제2음절의 초성 ㄴ의 영향으로 제1음절에 종성 ㄴ이 첨가된 ‘낳, 나, 한낳, 한나’의 예도 나타났는데, ‘낳/나’의 경우는 이미 16세기부터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예도 보인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이형태/이표기 낳, 나, 하낳, 하나, 낳, 나, 한낳, 한나
세기별 용례
15세기 : (낳, 나, 낳, 나)
一 나히라1446 훈언 13ㄴ
隨喜 功德에 디 몯야 百分 千分 百千萬億分에 나토 몯 미츠리니 ≪1447 석상 19:5ㄱ
그제 그듸 내 이 네 바리 받라 더니 이제 時節이로다 고 四天王이 各各 나콤 가져와 받대 ≪1459 월석 4:57ㄴ
無量 比丘의 그 나 둘만 正受를 며 ≪1447 석상 23:34ㄴ
傑出 사 엇뎨 몸 아 나 기들우리오 ≪1481 두시-초 16:50ㄱ
나 묻거든 나 對答고 ≪1496 육조 하:51ㄴ
16세기 : (낳, 나, 낳, 나)
이 세 버디 둘흔  살 나그내오 나흔 즈름이러라 ≪1510년대 번노 하:7ㄴ
사 가져다가 흔드러 그 에 나 혀 혀니 뉜고 야 ≪1510년대 번노 상:4ㄱ
이 여슷 리  나히  닷 되 딥  뭇곰 야 ≪1510년대 번노 상:12ㄱ
 禪源諸詮集 序에 三宗을 야 호미 니 그 져기 닐오 나 妄念 그치고  닷 宗이니 ≪1522 법집 26ㄴ
17세기 : (낳, 나, 낳, 나)
산 게 나흘 로니 허 드슨 술의 플어 머기면 ≪1608 언태 51ㄱ
콩 버므릴 막대 나토 업니 리 우리 딥 퍼온 막대 가져 와 ≪1690 노언 상:29ㄴ-30ㄱ
그 우희 거적 나 고 그제야 챠디츅문을 세 번 닐그라 ≪1608 언태 64ㄴ
고티디 몯 증 다시 인니 나 온 럅고 디고 치워고 니 고 답답니오 ≪1608 언두 상:48ㄴ
디황과 당귀신 달힌 믈 가막죠개 겁질로 나만 야 그   아긔 입안 하 우콰 어믜 젇리 우희 라 아기 머겨 라 ≪1608 언두 상:4ㄴ
小小碗口애 中藥線이 세 치오 火藥이  兩 여 돈이오 檄木이  치 닷 分이니 水磨石 나 놋니 ≪1685 화포 6ㄱ
18세기 : (낳, 나, 낳, 나, 하낳)
네 父母ㅣ 兒子ㅣ 업고 다 너 나흘 나하시니 비록 男子ㅣ 업스나 오히려 혀 女孩兒ㅣ 이시니 ≪1721 오륜전비 2:46ㄱ
그러나 史傳애 실닌 바 열헤 계요 나 둘히로 ≪1737 여사 3:46ㄱ
내 이 帽刷 靴刷 각 나와 刷牙 둘과 귀밋 빗기 둘을 사고져 노라 ≪1765 박신 3:32ㄴ
고금에 오직 곽현 나이로1778 속명의 1:32ㄱ
初年 一年은 다 에 나흘 나코 後 三年은 每年에 둘씩 雙生니 ≪1721 오륜전비 5:15ㄱ
너려 세가지 말노 뭇니 나 샹노의 편지 일이오 ≪1777 명의 2:30ㄴ
ᄒᆞ다가 능히 뎡근ᄒᆞ야 조케 ᄒᆞ야 불승ᄭᅴ 받ᄌᆞ오면 이 명죵ᄒᆞᆫ 사름미 칠 분의 하나ᄒᆞᆯ 어들이라 ≪1762 지장 중:19ㄱ
19세기 : (낳, 나, 낳, 나, 하낳, 하나, 한낳, 한나)
이 군 일 물가의셔 물의 진 사 나흘 구엿시니 ≪1852 태상 1:51ㄴ
물만 탐고 상 젼 나 몸의 고 단니며 온갓 거 다 젼 속의 너흐니 ≪1852 태상 3:07ㄴ
두 누의 잇 나흔 마다요 나흔 마리아ㅣ니 ≪1894 훈아 24ㄴ
졀긔에 방의 규레여 셩 맛텨 죄인 나 놋데 ≪1887 성전 마태27:15
글 하나히 쳔금이 니 글 당히 금치 앗길지라 ≪1882 경석 1ㄱ
셔인은 양  하나를 지으며 긔계 하나를  ≪1883 이언 2:07ㄴ
열두 뎨자의 한나흔 이쓰카료 유다니 졔사쟝의게 나아가 예수 붓치고져  ≪1887 성전 마가14:10
실노 졔사 직분 맛 리위 자손이 명 바들고 법 의지여 셩의게 열에 한나 취나 ≪1887 성전 히브리서7:5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상위어본말/준말비슷한말참고 어휘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하나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