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군자

- 품사
- 「명사」
- 「002」행실이 점잖고 어질며 덕과 학식이 높은 사람.
- 군자는 덕을 가져서 이기는 것이요, 소인은 강포한 힘으로 이겨 보려 하는 것인데….≪박종화, 임진왜란≫
- 소인은 재물을 주고받고 군자는 아름다운 말을 주고받는다고 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 그는 사람이 어떤 교육을 받고 어떻게 공부하느냐에 따라 군자(君子)도 될 수 있고 소인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김광식, 인간을 위하여 미래를 위하여, 도서 출판 열린 세상, 1995년≫
- 마지막 말은 여의치 않는 일이 있을 때 군자는 스스로의 탓으로 돌이켜 자신을 반성하고 소인은 세상과 남을 탓한다는 뜻이다.≪이병한 외, 요리사와 천하지사, 박이정, 1998년≫
- 소인은 이로우냐 해로우냐를 따지는 데 밝은 사람입니다. 그러나 군자는 옳으냐 그르냐를 따지는 데 밝은 사람입니다.≪김교빈 외, 동양 철학 에세이, 동녘, 1993년≫
- 그날은 나도 심사가 몹시 격해 있었고, 군자란 희로애락을 겉으로 나타내지 않는다고 배워왔으나 본시 도덕이 높질 못하여 과한 말을 했소이다.≪박경리, 토지, 솔 출판사, 1994년≫
- 군자(君子)의 덕은 바람과 같고, 소인(小人)의 덕은 풀과 같아서, 풀잎은 바람이 그 위로 불면 저절로 고개를 숙이니라.≪수필 공원 1994년 봄호≫
관용구·속담(2)
- 속담군자도 시속을 따른다
- 어떤 사람이라도 시대적 풍습을 따라가야 한다는 말.
- 속담군자 말년에 배추씨 장사
- 평생을 두고 남을 위하여 어질게 살아온 사람이 말년(末年)에 가서는 매우 어렵게 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