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집필 참여하기
사전 통계
어휘 지도
작은 창 사전
들어가기
회원 가입
통합검색
옛한글
찾기
자세히 찾기
내용 보기
편집 이력
토론하기
0
단어장에 추가
인쇄
트위터
페이스북
전문가 감수 정보
전문가 감수 정보란?
참여자 제안 정보
전문가 감수 정보란?
입향-조
(入鄕祖
보기
)
편집하기
편집 금지 요청
발음
[이퍙조]
품사
「명사」
원어
入
들 입
부수 入/총획 2
鄕
시골 향
부수 邑/총획 13
祖
할아비 조
부수 示/총획 10
한자
「001」
마을에 들어와 터를 잡은 선조.
족보상의
입향조까지를
내세워 자랑하는 우리의 이른바 ‘뿌리 의식’을 감안할 때 본적 폐지는 유림 사회의 반발 등 사회적 물의를 불러올 수 있는 소지도 적지 않다.≪세계일보 2000년 3월≫
안채는 세종 7년
입향조
하백연이 창건하였고, 사랑채는 1898년 신축하였다.≪주남철, 한국 건축사, 고려 대학교 출판부, 2000년≫
지식 정보
내용 보기
편집 이력
특수 문자 입력
저장
지식 정보 편집 이력 검색
날짜
~
전체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작업자
이름
계정(ID)
찾기
모두
개의 지식 편집 이력이 있습니다.
10개씩보기
20개씩보기
30개씩보기
50개씩보기
100개씩보기
적용
지식 편집 이력 목록
번호
편집 날짜
작업자
편집 내용
편집 결과
비교
내가 살펴본 단어
내 단어장
단어장에 추가
전체 삭제
취소
닫기
의견 제시
서비스 개선 의견, 기타 의견 등은
여기를 눌러
주세요.
한국어 발음 듣기 서비스의 일부는
네이버문화재단에서 후원
하였습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