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마루

- 품사
- 「명사」
- 「003」일이 한창인 고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등-강(강원), 등가(강원), 등겡-이(강원), 말랑(강원), 말랭이(강원, 제주, 평남), 말래(경기, 전남, 충남), 마리-껄(경남), 만대이(경남), 만디(경남), 먼뎅이(경남), 멀랑(경남), 몬당(경남, 전남), 마래이(경북), 만데기(경북), 만디기(경북), 말레이(경북, 전북, 충청), 모레이(경북), 모렝이(경북, 전북), 모리이(경북, 전북), 모링이(경북, 전북), 당-마리(경상, 중국 흑룡강성), 마리(경상), 만디이(경상), 먼딩이(경상), 몰레(전남), 몰리(전남), 물레(전남), 망깡(전라), 마랭이(제주), 말리(제주), 날망(충북), 말렝이(평남), 말그(함북, 중국 길림성)
역사 정보
(15세기~19세기)>르(17세기)>마로(19세기)>마루(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마루’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단독으로 쓰이거나 조사 ‘-와’,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 그 밖의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ㄹ’로 이형태 교체를 하였다. 18세기까지도 ‘ㄹ’의 예가 나타나므로 ‘/ㄹ’의 이형태 교체가 사라진 것은 19세기 이후로 추정된다(18세기 문헌에 보이는 ‘ㄴ’은 ‘ㄹ’의 이표기이다). 16세기 이래로 제2음절 이하의 모음 ‘ㆍ’는 ‘ㅡ’로 바뀌었는데, ‘르’로 변한 예가 17세기 문헌에 한 번 보일 뿐 18세기까지는 대체로 ‘/ㄹ’이 나타났다. 19세기에는 ‘마로’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이는 제2음절의 모음이 ‘ㆍ>ㅗ’로 변화하고, 또한 근대국어 시기에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면서 ‘>마로’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마로’에서 제2음절의 양성모음 ‘ㅗ’가 음성모음 ‘ㅜ’로 바뀌어 현대 국어의 ‘마루’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 ㄹ, ㄴ, 르, 마로, 마류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마루 넘은 수레 내려가기
- 사물의 진행 속도나 형세가 걷잡을 수 없이 매우 빠름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