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곰ː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5」범죄 집단의 은어로, ‘경찰’이나 ‘형사’를 이르는 말.

역사 정보

고마(15세기)>곰(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곰’의 옛말인 ‘고마’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에 제2음절의 모음 ‘ㅏ’가 탈락하여 ‘곰’으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한글 창제 후 최초의 문헌인 ≪용비어천가≫에서만 ‘고마’가 나타날 뿐 그 이후 15세기의 문헌에서도 현대 국어와 같은 ‘곰’으로만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세기별 용례
15세기 : (고마, 곰)
고마  熊津 ≪1447 용가 3:15
모딘 象과 獅子와 범과 일히와 곰과 모딘 얌과  벌에트렛 므여 이리 이셔도 ≪1447 석상 9:24ㄴ
魔王이 더 怒야 十八億 兵馬 모도니 變야 獅子ㅣ며 고미며 나비며 야미며 온 가짓  외며 블도 吐며 ≪1459 월석 4:8ㄱ
고 발토배 헐여 毒氣 알  고튜 ≪1466 구방 하:63ㄴ
뷘 거츤 셔 고미 우니 삿기 치 즘이 사 고기 기들오니라 ≪1481 두시-초 25:3ㄱ
16세기 : (곰)
 ≪1527 훈몽 상:10ㄱ
17세기 : (곰)
熊脂 곰의 기름 ≪1613 동의 1:43ㄱ
뷘 거츤 셔 곰ㅣ 우니 삿기 치 즘ㅣ 사 고기를 기들오니라 ≪1632 두시-중 25:3ㄱ
1690 역해 하:33ㄱ
18세기 : (곰)
1748 동해 하:38ㄴ
놉흔 뫼흘 업게 면 범과 곰이 어 의지에 살며 ≪1777 소아 4ㄱ
1790 몽해 하:32ㄴ
19세기 : (곰)
룡도 아니 며 리도 아니며 곰도 아니며 비도 아니며 범도 아니며 피도 아니오 ≪1832 십구 1:48ㄱ
곰의  (熊膽) ≪1868 의종 45ㄴ
텬쥬ㅣ 엇지 큰 나 코키리나  즘승을 명야 왕을 굴복게 아니시고 ≪1892 성직 1:80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상위어본말/준말형사비슷한말참고 어휘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