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하나

- 품사
- 「명사」
- 「004」((주로 ‘하나만’ 꼴로 쓰여)) ‘오직 그것뿐’의 뜻을 나타내는 말.
- 나에게는 하나뿐인 그대.
- 자식 하나만 믿고 살아온 어머니.
- 달랑 가방 하나만 들고 있었다.
- 짐이라고는 배낭 하나뿐이었다.
- 소매 짧은 남방셔츠를 달랑 걸치고 있는 것은 나 하나뿐이었다.≪유재용, 성역≫
- 이 안타까운 사정을 알아 줄 이는 이 세상에 둘도 없는 오직 그이 하나뿐이다.≪현진건, 무영탑≫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낳(15세기~19세기)>나(18세기~19세기)>하나(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하나’의 옛말인 ‘낳’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낳/나’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 -곰’ 등과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고,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이었다. 이러한 ㅎ의 흔적은 현대 국어 구어의 “하나토 없다”와 같은 발음에 남아있다. 18세기에 끝소리 ㅎ이 탈락한 ‘나’의 예가 나타나기 시작하나, ‘낳’ 형태 역시 19세기까지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변함에 따라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하나’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한편 15세기~19세기에는 제2음절의 초성 ㄴ의 영향으로 제1음절에 종성 ㄴ이 첨가된 ‘낳, 나, 한낳, 한나’의 예도 나타났는데, ‘낳/나’의 경우는 이미 16세기부터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예도 보인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
---|---|
이형태/이표기 | 낳, 나, 하낳, 하나, 낳, 나, 한낳, 한나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