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갈매기

- 품사
- 「명사」
- 「003」사병 또는 부사관의 계급장에서, ‘V’ 자 모양의 표지를 속되게 이르는 말.
- 어느새 장교 계급장을 단 아이가 있는가 하면 갈매기 하나를 단 졸병도 있었다.≪최일남, 골방≫
- 그들이 팔뚝에 달고 다니던 호랑이와 하얀 말과 야자수와 비둘기를 그린 사단의 상징들과, 작대기와 갈매기 계급장, 전쟁이니 영웅이니 개선 장병이니 하는 화려하고 지극히 추상적인 개념들,….≪안정효, 하얀 전쟁≫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갈매이(경남), 깔마구(경남), 깔미(경남), 갈마구(경북, 전북, 충청), 갈마기(경북), 갈미기(경상, 중국 흑룡강성), 깔매기(경상, 함북, 중국 길림성), 갈미(전남, 제주), 갈미-새(전남), 갈따구(전북), 갈메(제주), 갈메기(제주), 갈멩이(제주), 감새(제주), 구배기(제주), 가르매기(함남), 갈맥-새(함북, 중국 길림성)
- 옛말
- 며기
역사 정보
며기(15세기~19세기)>갈매기(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갈매기’의 옛말인 ‘며기’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9세기 문헌까지도 ‘며기’ 형태만 확인되므로 ‘ᄀᆞᆯ며기>갈매기’의 변화 과정을 분명히 확인할 수는 없으나, 근대국어 시기에 어두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ᄀᆞᆯ>갈’로 변화하고, 제2음절의 모음 ‘ㅕ’가 전설모음화 및 이중모음의 단모음화를 거쳐 ‘ㅐ’로 변화하여 현대 국어와 같은 ‘갈매기’ 형태가 등장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
---|---|
이형태/이표기 | 며기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