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꼭뚜서니

- 품사
- 「명사」
- 분야
-
『식물』
- 학명
- Rubia akane
- 「001」꼭두서닛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며, 모가 지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4개씩 돌려나며 콩팥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다. 7~8월에 노란 꽃이 많이 피고 둥근 모양의 장과(漿果)는 검게 익는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물감의 원료나 진통제로 쓴다. 산과 들에 자라고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역사 정보
곡도손(16세기~19세기)/곡도(16세기~18세기)>곡도손이(19세기)>꼭두서니(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꼭두서니’의 옛말인 ‘곡도손’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16세기 문헌에는 ‘곡도손’과 함께 ‘곡도’ 형태도 보이는데, ‘곡도숑, 곡도송’ 형태는 18세기까지 문헌에 나타났다. 19세기에는 ‘곡도손’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곡도손이’ 형태가 등장하였다. 현대 국어의 ‘꼭두서니’는 ‘곡도손이’에서 두 번째 음절의 양성모음 ‘ㅗ’가 음성모음 ‘ㅜ’로 바뀌고, 세 번째 음절의 모음 ‘ㅗ’가 ‘ㅓ’로 바뀐 후, 어두 된소리화를 거친 형태이다. |
---|---|
이형태/이표기 | 곡도손, 곡도, 곡도숑, 곡도송, 곡도손이, 곡두순이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