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동산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마을 부근에 있는 작은 산이나 언덕.
아버지는 아침마다 동산에 올라 휘파람을 불었다.
우리 마을은 나직나직한 동산들로 둘러싸여 있다.
철이 엄마는 죽어서 동산 기슭에 묻혔다. 동구의 축대에 올라서면 나무 사이로 그 무덤이 보였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거기서부터 진영 읍내까지는 사십 리가 늘어진 길이었다. 해는 동산 위로 한 뼘 넘게 솟았고, 화창한 봄을 맞은 산야의 푸름이 더할 수 없이 싱그러웠다.≪김원일, 불의 제전≫
나무 그늘 하나 없는 동산에 뙤약볕은 사정없이 내리쪼였다. 그런데도 일사병에 쓰러진 대원이 없었으니 기적 같은 일이다.≪이병주, 지리산≫
기차가 동산을 돌아 나가자 기적을 길게 울렸고, 곧 창밖의 시야가 훤히 트였다.≪김원일, 불의 제전≫
흔히 고향을 생각하는 노래에는 꽃 핀 마을 뻐꾸기 우는 동산, 마치 이 세상의 낙원인 것처럼 그리워하는 일이 많으나,….≪박종흥, 새날의 지성≫
그 빗속을 뚫고 다시 행군이 시작되어 어느 동산 밑까지 갔다.≪이병주, 지리산≫
벌써 새벽 동산에 오른 건강한 사람들의 외침을 들으며 홀로 술잔을 드는 새벽은 그저 눈물겹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달은 오른쪽 동산에서 떠서 서쪽 구릉으로 서서히 넘어가기도 전에 풍경 한복판에서 가뭇없이 스러진다.≪이제하, 유자약전≫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까끔(경남, 전남)
옛말
위않

역사 정보

산(16세기)>동산(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동산01’의 옛말인 ‘산’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동산’은 한자어 ‘동산(東山)’의 한글 표기이다. 16세기에 종성 ‘ㆁ’을 표기에 쓰지 않게 됨에 따라 ‘동산’으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산, 동산
세기별 용례
16세기 : (산, 동산)
빗난 산 안햇 고 일퍼 도로 몬져 디고 ≪1518 번소 6:28ㄱ
동산 원 ≪1583 천자-석 32ㄴ
빗난 동산 가온 고 일 픠욤애 도로 몬져 이울고 ≪1588 소언 5:26ㄱ
17세기 : (동산)
놀리 스스로 동산 가온 오나 ≪1617 동신속 효7:4ㄴ≫
동산 가온 셩빙고 낫밤을 슬피 우다가 ≪1617 동신속 열1:85ㄴ≫
18세기 : (동산)
셧녁 동산에 가 ≪1765 박신 2:40ㄱ
하이 져믈고 동산의  도다셔 은 거시 낫고 ≪1774 삼역 8:9ㄱ
19세기 : (동산)
 집 쥬인이 동산에 포도 시무고 ≪1887 성전 마태복음 21:33
텬사가 그 낫츠로 동산에 거두며 포도 열음 에 모두와 ≪1887 성전 요한묵시록 14:19

관용구·속담(1)

속담동산에 뜬 달 보고 놀랜 강아지 짖어 댄다
아무렇지도 아니한 일에 공연히 놀라서 안절부절못하는 모습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언덕상위어본말/준말비슷한말참고 어휘선인처시록림꽃동산앞동산당산뒷동산남원녹야원녹원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동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