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무근쌀]
- 품사
- 「명사」
- 「001」그해에 난 것이 아닌 오래된 쌀.
- 바가지에 담긴 곡식은 봄·가을에 햇곡식으로 갈아 넣고, 묵은쌀로는 밥을 지어 온 식구가 함께 먹으면서….≪최명희, 혼불≫
역사 정보
무근(15세기~18세기)>묵은쌀(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묵은쌀’은 15세기 문헌에서 ‘무근’로 나타난다. 이 말은 ‘묵-+-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합성어로 보인다. 17세기와 18세기 문헌에서 보이는 것은 합성어라기보다는 구로 보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이지만 의미에서는 15세기의 것과 차이가 없다. ‘무근’을 분철 표기가 되고 ‘>>쌀’의 변화를 거친 결과 현대 국어의 ‘묵은쌀’이 형성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