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가락

- 활용
- 가락만[가랑만

- 품사
- 「명사」
- 「001」물레로 실을 뽑을 때 실이 감기는 쇠꼬챙이.
역사 정보
가락(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가락’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현재와 동일한 형태인 ‘가락’으로 나타난다. ‘가락’은 ‘分, 岐, 裂’의 의미를 갖는 명사 ‘가’에 접미사 ‘-악’이 결합한 것으로 보기도 하고 “가르다”의 의미를 갖는 15세기 국어의 ‘가-’에 접미사 ‘-악’이 결합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
---|---|
이형태/이표기 | 가락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
- 속담가락 바로잡는 집에 가져다가 세워 놨다 와도 좀 낫다
- 휜 물렛가락을 가락 고치는 집에 가져다 놓았다가 다시 가져오기만 하여도 휜 것이 바로잡힌 것처럼 느껴진다는 뜻으로, 좋은 환경의 영향을 조금만 받아도 정신적으로 위안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