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지붕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2」어떤 물체의 위를 덮는 물건.
자동차 지붕에 눈이 잔뜩 쌓여 있다.
천막 지붕이 찢어져서 비가 샌다.
승용차들이 지붕 위에 큰 화환을 싣고 왔다. 그 화환의 수를 정확히 셀 수 없었다.≪조세희, 궤도 회전≫
소영과 최선화가 피난 열차 지붕에서 내려온 것은, 순전히 이 소녀에게 추위를 막아 주자는 이유에서였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집웋(15세기~19세기)>집웅(19세기)>지붕(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지붕’의 옛말인 ‘집웋’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집웋’은 ‘집’에 “위”를 뜻하는 ‘웋’이 결합된 것이다. ‘집웋’이 ‘집웅’으로 바뀐 것은 두 가지 가능성을 통해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집’에 접미사 ‘-웅’이 결합된 ‘집웅’이 ‘집웋’를 대체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집웋’의 제2음절 종성 ‘ㅎ’이 ‘ㅇ’으로 바뀌었다고 보는 것이다. 이렇게 볼 경우 ‘ㅎ’ 종성 체언의 ‘ㅎ’은 탈락되거나 축약되거나 재음소화 되거나 하는 과정을 겪는 것이 일반적이고 ‘ㅇ’으로 변하는 경우가 ‘’(>땅) 등 드물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19세기 문헌에 나타난 ‘집웅’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지붕’은 20세기 이후 문헌에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집웋, 집우, 집웅, 집옹
세기별 용례
15세기 : ((집웋))
집우희 올아 넉슬 브르고 ≪1466 구방 상:36ㄱ
16세기 : ((집웋))
집우 홀연히 오며 ≪16세기 장수 66ㄴ
17세기 : ((집웋))
패초산은 오란 집우희 니엿던 새초 로여 셰말여 ≪1608 언두 하:14ㄱ
18세기 : ((집웋))
죤현각 집우희 오고져 노라 ≪1778 속명의 1:8ㄴ
19세기 : ((집웋, 집우, 집웅, 집옹))
집우희 잇 이 ≪1892 성직 7:118ㄱ
집우에도 을나가나 ≪1896 심상 2:22ㄱ
故로 그 簷牙와 집웅도 장 허러질 터이 되야 ≪1896 심상 1:17ㄱ
집옹1880 한불 565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덮개상위어본말/준말비슷한말참고 어휘옥개지붕하위어낮춤말반대말높임말지붕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