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하루사리

- 품사
- 「명사」
- 「003」아주 짧은 기간 동안 지속된 생활이나 목숨, 정권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대문 시장에 점포를 열 개쯤 가지고 있는 뚱뚱보 사장과 그의 하루살이 애인….≪김승옥, 다산성≫
- 이렇듯 기강이 어지러운 판에 고종 21년(1884) 시월에는 소위 개화당의 하루살이 정권이라 일컫는 갑신정변이 일어나는 등….≪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날-파리(강원, 경남, 충청), 날개미(강원), 하로-살이(강원, 경상, 전남, 충청), 날-파래이(경남), 날-퍼리(경남), 날-포랭이(경남), 하럽-살이(경남), 하룹-사리(경남), 하룹-살이(경남), 깍다구(경북), 날-파리기(경북), 하람-살이(경북), 하랍-살이(경북), 하름-살이(경북), 할-사리(경북), 화로-살이(경북), 날-포리(경상, 전남), 하리-살이(경상, 전라), 하내-살이(전남), 하레-살이(전남), 하우-살이(전남), 깔다구(전북), 날타리(전북, 충남), 하루-샐이(전북), 누네누니(제주), 누니-누니(제주), 누니누이(제주), 누에누리(제주), 멩이누이(제주), 하르-살이(제주), 깔다귀(충남), 잔테미(함경), 부-나비(함북), 잠테미(함북)
- 옛말
- -사리
역사 정보
사리(16세기~18세기)>하루살이(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하루살이’의 옛말인 ‘사리’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사리’는 ‘하루’의 옛말인 명사 ‘’와 동사 ‘살-’, 명사파생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18세기까지 ‘사리’로 나타났는데, 근대국어 시기에 명사 ‘’가 ‘로’로 변화하고, 그 이후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ㅏ’로 변하고 제2음절의 양성모음 ‘ㅗ’가 음성모음 ‘ㅜ’로 변하여‘로>하루’로 변화함에 따라 ‘사리’도 현대 국어와 같은 ‘하루살이’로 나타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사리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