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미끼

- 품사
- 「명사」
- 「002」사람이나 동물을 꾀어내기 위한 물건이나 수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미끼를 던지다.
- 증조할아버지는 만호 벼슬을 미끼로 만만한 마을 사람들의 피를 빨며 살아오지 않았는가.≪한승원, 해일≫
- 하지만 왕비마마의 그런 농담을 미끼로 삼는 남자라면 저는 싫습니다.≪유주현, 대한 제국≫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떡-밥
- 지역어(방언)
- 고네(강원), 꼬네기(강원), 메깝(강원), 메깟(강원), 메끼(강원, 함남), 미깟(강원), 이깝(경기, 경남, 전남, 충남), 미깝(경남, 함경, 황해), 이깞(경남), 메설(경북), 미기(경상), 밋갑(경상), 입갑(경상, 전남), 미깜(전남), 미깡구(전남), 이깜(전남), 입-감(전남, 충남), 잇-감(전남), 잇-갑(전남), 입-갓(전북), 입-밥(전북), 느껍(제주), 느이껍(제주), 늬껍(제주), 니껍(제주), 닉겁(제주), 미껍(제주, 함경), 뿡기(제주), 이껍(제주), 미께(평안, 함남,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미(함북), 미끄(함북, 중국 길림성), 미까이(황해)
역사 정보
(15세기)>밋기(18세기~19세기)>미끼(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미끼’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부터 나타난 ‘밋기’는 ‘’에 명사파생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이때의 ‘ㅅ’은 오늘날과 같이 음절말에서 ‘ㄷ’으로 발음되었으므로 뒤에 오는 ‘ㄱ’은 된소리가 되었다. ‘밋’는 그것을 표기에 나타낸 것이다. 20세기 이후 ‘ㄱ’의 된소리를 ‘ㄲ’으로 표기하면서 ‘미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한편 19세기에 나타나는 ‘믹기’는 뒤에 오는 ‘ㄱ’의 영향으로 제1음절의 종성이 동화된 것을 나타낸 표기이다. |
---|---|
이형태/이표기 | , 밋기, 밋, 믹기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