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잠방이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가랑이가 무릎까지 내려오도록 짧게 만든 홑바지.
농군들처럼 여름에는 웃통도 벗어부치고 무릎에 차는 잠방이만 하나 입고 논 속에 들어가서 철벅거려 보았으면 좋겠다는 것이었다.≪이무영, 농민≫
세 사나이는 땀 먼지에 결은 등거리 잠방이를 훌훌 벗어 팽개치고는 나란히 서서 머리로부터 물을 맞았다.≪유주현, 대한 제국≫

관련 어휘

비슷한말
곤의(褌衣), 단-곤자(單褌子), (襠), 사발-고의(沙鉢고의)
지역어(방언)
건방-주우(강원), 곰방-세(강원), 곰방-주우(강원), 곰방-중우(강원, 경남), 곰방-중이(강원), 곰방주니(강원), 단-중에(강원), 잠방-중우(강원, 경북), 잠방-중이(강원), 잠배이(강원, 경기, 경남, 황해), 주웅(강원), 꼴뚝-잠뱅이(경기), 잠방-등거리(경기, 충남), 잼뱅이(경기, 충남), 담방-중우(경남, 충남), 돔방-중우(경남), 동가리-중우(경남), 동갈-중우(경남), 땅-중오(경남), 몽당-주우(경남), 무중우(경남), 반-쑤봉(半쑤봉)(경남), 반-쓰봉(半쓰봉)(경남), 삼베-잠배이(경남), 삼베-잠뱅이(경남), 새꼬-중우(경남), 쇠꼬-중우(경남), 잠방(경남), 짜른-중우(경남), 짜린-중우(경남), 짬빼이(경남, 중국 흑룡강성), 한쑤봉(경남), 한쓰봉(경남), 당-주(경북), 반-주봉(半주봉)(경북), 짧은-중우(경북), 한쭈봉(경북), 땅-중우(경상), 몽당-주(경상), 몽당-중우(경상), 몽땅-주(경상), 무주(경상), 무-장뱅이(전남), 무중우-따께(전남), 무중우-잠뱅이(전남), 무중이-잠뱅이(전남), 중우-잠뱅이(전남), 진중우-잠뱅이(전남), 고시파(전라, 평북, 함북,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무-잠뱅이(전라), 물-잠뱅이(전라), 잠방구(전북), 자른-중이(제주), 잠벵이(제주), 점뱅이(제주), 정뱅이(제주), 물쭝이(충남), 반중이(충남), (충남), 사발-중우(충북), 사발-중이(충북), 잠뱅이-중우(충북), 물-잼방이(평북), 쟘뱅이(평북), 통-둥에(평북), 통-둥이(평북), 물-잠방이(평안), 물짬방이(평안), 풀-둥에(평안), 짠방이(함남), 짬뱅이(함남), 통-중이(함남), 덩개-바디(함북), 무렆-바지(함북), 잠배(황해)
옛말
쟘이

역사 정보

쟘방이(17세기~19세기)>잠방이(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잠방이’의 옛말인 ‘쟘방이’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치음이었던 ‘ㅈ’이 구개음으로 바뀌어 ‘쟈’와 ‘자’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면서 ‘쟘방이’의 제1음절 ‘쟘’이 ‘잠’으로 변하여 19세기 이후 ‘잠방이’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쟘방이, 잠방이
세기별 용례
17세기 : ((쟘방이))
쟘방이 (裲襠) ≪1669 어록-개 29ㄱ
19세기 : ((쟘방이, 잠방이))
쟘방이 (窮袴) ≪1810 몽유 상:10ㄱ
잠방이 襦 ≪1880 한불 525

관용구·속담(1)

속담잠방이에 대님 치듯
거북한 일을 당하여 켕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