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사ː례하다

- 활용
- 사례하여[사ː례하여](사례해[사ː례해]), 사례하니[사ː례하니]
- 품사/문형
- 「동사」 【…에/에게】【…을】
- 「001」언행이나 선물 따위로 상대에게 고마운 뜻을 나타내다.
- 잃어버린 돈을 찾아 준 그에게 사례하려 했지만 그는 극구 사양했다.
- 경기에서 진 편이 음식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게 사례하기로 했다.
- 이 사람을 찾아 주시면 후히 사례하겠습니다.
- 준은 이름을 빌려준 귀국자에겐 적당히 사례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 허후의 어제의 고마운 말에 사례하려 왔던 바이지만….≪김동인, 대수양≫
- 연산은 인정전에서 백관의 조하를 받으신 뒤에 크나큰 잔치를 사흘 동안이나 열어 모든 신하의 수고로움을 사례했다.≪박종화, 금삼의 피≫
- 두령께 와서 죽이지 않은 은혜를 사례하고 가신다고 해서….≪홍명희, 임꺽정≫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사-하다(謝하다)
역사 정보
샤례하다(16세기~18세기)>사례다(18세기~19세기)>사례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사례하다’의 옛말인 ‘샤례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한자어 ‘謝禮’의 16세기 당시 한자음인 ‘샤례’와 “하다”의 뜻인 ‘다’가 결합한 것이다. ‘샤례’는 근대 국어 후기에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의 영향으로 ‘샤’가 ‘사’로 ‘례’는 ‘레’로 바뀐 용례가 나타나나 현대 맞춤법에서는 ‘례’의 경우는 ‘레’를 인정하지 않으므로 ‘례’로 정착되었고, ‘다’는 ‘ㆍ’ 표기가 전면적으로 폐지됨에 따라 ‘하다’로 표기되어 현재 어형인 ‘사례다’로 표기되었다. 17세기에는 ‘샤례다’의 ‘샤’가 한자 ‘謝’로도 표기되는데 주로 가례언해에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서 이 문헌의 특징이라 이해할 수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샤례다, 사례다, 샤레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