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부삽

- 활용
- 부삽만[부삼만

- 품사
- 「명사」
- 「001」아궁이나 화로의 재를 치거나, 숯불이나 불을 담아 옮기는 데 쓰는 조그마한 삽. 쇠붙이 따위로 네모가 지거나 둥글게 만들었는데, 바닥이 좀 우긋하고 자루가 달려 있다.
- 그녀는 아궁이에서 부삽으로 불씨를 퍼내어 화로에 담았다.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화삽(火삽)
- 지역어(방언)
- 부-대리비(강원), 부-둥갱이(강원), 부-샆(강원), 불-가래(강원, 경남), 불-대래비(강원), 불-부댕이(강원), 불-비대이(강원), 불-비댕이(강원, 충북), 불-비뎅이(강원), 비대이(강원), 비데이(강원), 붇-삽(경기, 중국 길림성), 불-뚜개(경기), 불-삽(경기, 전라, 제주, 충남,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불-갈래(경남, 전남, 제주), 불-공구래(경남), 불-수군포(경남), 불-지우개(경남), 부사까래(경북), 부삽-가래(경북), 부새(경북), 부수까락(경북), 부수까래(경북), 붇-술(경북), 불-가리(경북), 불-까래(경북, 전라, 충북), 불-꼬갱이(경북), 불-솔(경북), 불-쇄개(경북), 불-술(경북), 비댕이(경북, 충북), 부술(경상, 제주), 불-손(경상, 전북), 불-까리(전남), 부-슬(전라), 부등카래(전라), 부석-삽(전북), 부-뚱아리(충남), 부등가리(충남), 불-주걱(충남), 비등개미(충남), 잿-삽(충남), 부-당가리(충북), 부댕이(충북, 함남), 부-도디개(평북), 부-숟꺌(평북), 부둥-개(평북), 부수깔(평북), 불-도두개(평안, 중국 요령성), 부-까래(함남), 부-도두개(함북), 불-도두깨(함북), 불-뜨개(황해), 불-샙(중국 길림성)
역사 정보
부삽(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부삽’은 19세기부터 현재까지 형태의 변화 없이 쓰이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부삽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